[경술국치 100년] “고종 역사 전부 다시 쓰게 될 것”

[경술국치 100년] “고종 역사 전부 다시 쓰게 될 것”

입력 2010-08-28 00:00
수정 2010-08-28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 본지 인터뷰

“고종시대 역사를 전면 다시 쓰게 될 것입니다.”

이미지 확대
100년 전 8월29일은 경술년에 나라가 수치를 당한, 즉 경술국치(庚戌國恥)일이다. 한·일 강제병합이 공포된 날이다. 이태진(67)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는 경술국치 100년을 이틀 앞둔 27일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이같이 단호하게 말했다.

그는 “1995년 무라야마 도미이치 당시 일본 총리의 사과 담화 때 일본이 (한국 강제병합에 관한) 각종 자료를 정리해 공개하기로 약속했다.”면서 “(약속에 따라) 일본 외교사료관, 국립공문서보관소, 방위연구소에 있는 중요 문건들이 차츰 아시아역사자료센터로 모이고 있다.”고 전했다.

처음엔 무척 속도가 더뎠으나 요즘 들어 부쩍 자료가 많이 올라오는 느낌이라는 이 교수는 “우리 측 자료는 이미 들여다볼 만큼 봤지만 일본 측 자료는 이제 공개가 시작된 데다 제국주의 모체여서 새로운 사실을 얻어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그렇게 되면 고종 시대사에 대한 재해석이 반드시 따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우유부단하게 앉아서 나라를 빼앗긴 고종 황제 이미지는 상당 부분 일본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는 게 이 교수의 주장이다.

이미지 확대
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
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
그는 “일본이 침탈을 정당화하기 위해 조선이 열등하다고 만들어낸 얘기들이 아직도 상식처럼 통용되는 실정”이라면서 “어차피 망한 왕조 아니냐는 머릿속 틀을 버리고 구체적인 사료에 근거해 역사를 판단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일본인은 문서와 자료와 증거에 약하다.”며 “흥분하고 소리 지를 필요 없이 차분하게 문건과 자료를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일왕과 순종의 서명 등이 달라 한·일 병합조약의 불법성을 입증해낸 일본 측 조약 원본도 1992년부터 집요하게 추적해온 자료조사 덕분에 최근 일본에서 찾아낼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탈민족주의 바람 때문에 그의 주장이 국수주의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해서는 “(탈민족주의자들은) 자꾸 미래를 보자고 하는데 발 밑에 종기를 달고 있는 채로 어떻게 미래로 나아가자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반문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8-2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