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比 4.7배↑…젊은층엔 영상통화 인기
북한 인구의 2%에 해당하는 43만여명이 휴대전화를 이용하고 평양 이외 지역에서도 휴대전화 가입자가 빠르게 느는 등 북한 주민의 휴대전화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북한 내 유일한 휴대전화 사업자인 이집트 ‘오라스콤 텔레콤’이 19일 내놓은 ‘2010년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오라스콤 텔레콤이 북한의 체신성과 합작해 세운 휴대전화 업체 ‘고려링크’에 가입한 이는 지난해 12월 현재 43만1천919명으로 2009년 12월 9만1천704명의 4.7배로 늘어났다.
매출액도 급증해 지난해는 전년동기보다 156% 늘어난 6천640만달러에 달했다.
가입자 증가에는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주민을 위한 특별 요금제를 내놓은 것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오라스콤 텔레콤은 “2분기에 저소득층을 위한 요금제를 내놓은 결과 지난 9월에는 평양 외 지역 매출이 전체매출의 50% 가까이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높은 요금 때문에 휴대전화 사용은 엄두도 못 내던 평양 외 지역 주민도 휴대전화를 좀 더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젊은층은 음성통화를 넘어 영상통화 서비스를 원했다. 오라스콤 텔레콤은 보고서에서 “3분기에는 특히 젊은층의 수요가 있어 영상통화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이용률이 높아 2011년에는 획기적인 부가가치서비스(VAS)를 더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라스콤 텔레콤과 합작해 만든 고려링크는 현재 평양에 18개, 평양 외 대도시에 8개의 지점을 두고 있다.
평양 외에도 원산, 함흥, 평성, 안주, 개천, 남포, 사리원, 해주 등 14개 도시와 22개 고속도로를 관장하는 333개의 이동통신 기지국이 있다. 2010년 말에는 북한지역의 무려 91%에서 휴대전화 사용이 가능해졌다는 설명이다.
엄종식 통일부차관은 최근 한 포럼에서 “북한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2008년 12월 이집트 오라스콤사와 합작으로 재개된 이래 가입자 수가 작년 말 현재 45만명에 이르고 있다”며 “아직 초기단계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인프라가 구축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작년에는 평양의 모란공원에서 휴대전화를 든 소녀의 모습이 러시아 관광객의 카메라에 포착돼 눈길을 끌기도 했다.
당시 소녀가 들고 있던 휴대전화에는 ‘평양’이라는 명칭과 함께 ‘고려링크’라는 회사명이 있었고 통보문, 차림표, 주소록 등 북한식 표현이 눈에 띄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