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간 정치 전면재개는 하지 않을 듯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19일 황우여 원내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당권ㆍ대권 분리를 규정한 당헌 개정 움직임에 반대 입장을 밝힌 것은 ‘7.4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뜻을 명확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현 당헌은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려는 자는 상임고문 외 선출직 당직으로부터 대통령 선거일 1년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박 전 대표가 대권에 도전하려면 전대에 출마할 수가 없다.
박 전 대표는 당권ㆍ대권 분리의 경우 자신이 당 대표 시절 정당개혁의 핵심 과제로 도출한 결론인만큼 대권주자들의 전당대회 출마라는 ‘정치 행위’를 위해 이를 손대려는 건 정당정치의 후퇴라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대표의 이 같은 입장은 당내 친이(친이명박)계를 중심으로 흘러나오는 ‘박근혜 전대출마론’에 쐐기를 박는 의미도 있다.
잠재적 경쟁자인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와 김문수 경기지사가 정 전대표의 경기도 공무원 특강에 앞서 티타임을 갖고 당권ㆍ대권을 통합해 이번 전대에 대권주자들이 모두 나와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과도 정면 배치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표의 본격 활동 시점도 자연스럽게 전대 이후로 늦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대에 출마하지 않을 경우 당장 정치적 활동 공간을 제약받을 수 밖에 없는 현실적 여건 때문이다. 박 전 대표 측도 정치 전면에 나서는 시점을 뒤로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박 전 대표가 전대 불출마와는 상관없이 당내 상당 지분을 가진 ‘주주’로서 일정부분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도 없지 않다.
한 친박(친박근혜) 의원은 “박 전 대표가 전대에 출마하지 않는다고 해서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해석까지는 무리”라며 “나름대로 역할을 찾아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30여분간의 이날 회동은 ‘첩보작전’을 방불케 할 만큼 언론과의 숨바꼭질 속에서 이뤄졌다.
애초 황 원내대표는 공개회동을 원했지만, 박 전 대표측에서 자칫 ‘쇼’라는 느낌을 줄 수 있는데다 박 전 대표가 대표 권한대행인 황 원내대표 위에 군림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 비공개를 요청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취재진이 수소문 끝에 박 전 대표의 자택과 가까운 강남구 삼성동 모 호텔 로비에서 진을 쳤지만 정작 두 사람은 이 호텔에서 가까운 모처에서 만나는 등 언론을 따돌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