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핵심측근인 류우익 전 주중 대사가 통일부장관에 내정되면서 향후 남북관계에서 그의 역할이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30일 현인택 통일장관 후임에 류 전 대사를 내정했다. 현 장관이 대북 강경파의 ‘아이콘’으로 인식돼왔다는 점에서 그의 교체가 어떤 식으로든 남북관계에 변화를 몰고 오지 않겠느냐는 시각이 많다.
북측이 현 장관을 ‘경인(지난해) 4적’이라고 지칭하며 줄곧 비난해왔다는 점에서 통일장관 교체가 북측에 일종의 메시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 통일장관에 내정됐다는 점이 관전 포인트다.
현 정부 초대 대통령실장을 지낸 류 내정자는 ‘쇠고기 파동’ 여파로 취임 3개월 여만인 지난 2008년 6월 불명예 퇴진했으나 1년 5개월 만에 주(駐)중국 대사로 복귀하며 이 대통령의 신임을 재확인했다. 지난 5월 주중 대사에서 퇴임한 뒤 3개월 만에 대북정책 주무 부처의 수장으로 돌아온 것이다.
그의 행보에 따라 남북관계의 분위기가 반전될 수 있다. 정부의 대북정책 원칙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꽉 막힌 남북관계의 숨통을 열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다.
이 대통령의 의중을 정확히 꿰뚫고 있고 사안에 따라 직언을 서슴지 않으며, 남북관계에 대한 의지가 상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야권뿐 아니라 여권에서도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남북관계 개선을 강력히 주문하고 있어 그의 역할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주중 대사를 지낸 만큼 대북 협상에서 중국 측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주중 대사를 거치면서 나름대로 대북채널을 유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류 내정자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분위기 조성에 노력할 것”이라면서 “기존에는 전제조건이 있는 원칙을 강조했다면 앞으로는 대화 속의 원칙이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천안함ㆍ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한의 태도변화가 없는 한 남북관계의 획기적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5.24 조치를 당장 풀기도 쉽지 않다.
이 대통령이 대북 원칙주의자인 현인택 통일부장관을 통일정책 특보에 내정한 것도 남북 관계에 변화를 시도하되 원칙은 훼손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향후 대북정책에서 현 통일특보 내정자의 의지가 지속적으로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류 내정자는 이산가족상봉 등 인도주의적 문제를 매개로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시도할 것으로 관측된다.
5.24조치의 탄력적 적용을 통해서 대북 인도적 지원을 확대하거나, 이산가족 상봉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현재 민간단체의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대북 인도적 지원만 허용하고 있다. 대북 인도적 지원을 취약계층의 범위를 넘어 확대할 수 있다.
정부가 남북관계 여건을 이유로 그동안 소극적으로 대응해왔던 이산가족 상봉도 북측에 먼저 제안을 하는 등 적극적 행보를 보일 수도 있다.
금강산관광 문제를 놓고 남북이 다시 머리를 맞대거나 5.24조치로 신규투자가 금지된 개성공단에 대한 투자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남북 간 대화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고 적십자회담 개최도 가능하다. 여건이 성숙하면 남북 당국 간 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30일 언급한 남북 간 ‘쓰리 트랙’도 주목된다.
홍 대표는 “남북관계는 ‘쓰리 트랙’으로 움직인다”면서 “첫째는 북핵 문제를 6자회담에서 푼다는 게 원칙으로 돼 있고, 둘째는 정치ㆍ군사적 문제로 이는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으로 이뤄진 이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 하는 것이며, 셋째는 인도적 지원과 경협 문제”라고 밝혔다.
향후 남북관계 개선은 남측의 통일장관 교체와 대화분위기 조성에 대한 북측의 태도변화 여부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30일 현인택 통일장관 후임에 류 전 대사를 내정했다. 현 장관이 대북 강경파의 ‘아이콘’으로 인식돼왔다는 점에서 그의 교체가 어떤 식으로든 남북관계에 변화를 몰고 오지 않겠느냐는 시각이 많다.
북측이 현 장관을 ‘경인(지난해) 4적’이라고 지칭하며 줄곧 비난해왔다는 점에서 통일장관 교체가 북측에 일종의 메시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 통일장관에 내정됐다는 점이 관전 포인트다.
현 정부 초대 대통령실장을 지낸 류 내정자는 ‘쇠고기 파동’ 여파로 취임 3개월 여만인 지난 2008년 6월 불명예 퇴진했으나 1년 5개월 만에 주(駐)중국 대사로 복귀하며 이 대통령의 신임을 재확인했다. 지난 5월 주중 대사에서 퇴임한 뒤 3개월 만에 대북정책 주무 부처의 수장으로 돌아온 것이다.
그의 행보에 따라 남북관계의 분위기가 반전될 수 있다. 정부의 대북정책 원칙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꽉 막힌 남북관계의 숨통을 열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다.
이 대통령의 의중을 정확히 꿰뚫고 있고 사안에 따라 직언을 서슴지 않으며, 남북관계에 대한 의지가 상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야권뿐 아니라 여권에서도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남북관계 개선을 강력히 주문하고 있어 그의 역할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주중 대사를 지낸 만큼 대북 협상에서 중국 측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주중 대사를 거치면서 나름대로 대북채널을 유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류 내정자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분위기 조성에 노력할 것”이라면서 “기존에는 전제조건이 있는 원칙을 강조했다면 앞으로는 대화 속의 원칙이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천안함ㆍ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한의 태도변화가 없는 한 남북관계의 획기적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5.24 조치를 당장 풀기도 쉽지 않다.
이 대통령이 대북 원칙주의자인 현인택 통일부장관을 통일정책 특보에 내정한 것도 남북 관계에 변화를 시도하되 원칙은 훼손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향후 대북정책에서 현 통일특보 내정자의 의지가 지속적으로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류 내정자는 이산가족상봉 등 인도주의적 문제를 매개로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시도할 것으로 관측된다.
5.24조치의 탄력적 적용을 통해서 대북 인도적 지원을 확대하거나, 이산가족 상봉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현재 민간단체의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대북 인도적 지원만 허용하고 있다. 대북 인도적 지원을 취약계층의 범위를 넘어 확대할 수 있다.
정부가 남북관계 여건을 이유로 그동안 소극적으로 대응해왔던 이산가족 상봉도 북측에 먼저 제안을 하는 등 적극적 행보를 보일 수도 있다.
금강산관광 문제를 놓고 남북이 다시 머리를 맞대거나 5.24조치로 신규투자가 금지된 개성공단에 대한 투자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남북 간 대화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고 적십자회담 개최도 가능하다. 여건이 성숙하면 남북 당국 간 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30일 언급한 남북 간 ‘쓰리 트랙’도 주목된다.
홍 대표는 “남북관계는 ‘쓰리 트랙’으로 움직인다”면서 “첫째는 북핵 문제를 6자회담에서 푼다는 게 원칙으로 돼 있고, 둘째는 정치ㆍ군사적 문제로 이는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으로 이뤄진 이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 하는 것이며, 셋째는 인도적 지원과 경협 문제”라고 밝혔다.
향후 남북관계 개선은 남측의 통일장관 교체와 대화분위기 조성에 대한 북측의 태도변화 여부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