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물갈이’로 극심한 내홍에 휩싸일 수도
새누리당(옛 한나라당)이 중진ㆍ고령 의원들의 ‘집단 용퇴’ 없이 4ㆍ11 총선 공천 신청을 마감할 것으로 보인다.새누리당이 지난 10일 마감하려 했던 공천 신청기간을 15일로 연장한 것도 일부 의원의 불출마 선언을 통한 자연스러운 ‘물갈이’ 분위기를 형성하려는 기대감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공천 신청 마감을 사흘 앞둔 12일 현재까지 추가적인 불출마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친이(친이명박)계를 겨냥한 ‘MB정부 실세 용퇴론’, ‘친박(친박근혜) 중진 용퇴론’도 고개를 숙인 상태다.
다만 초선인 김성수ㆍ김옥이 의원 등의 불출마 선언만이 간헐적으로 이어진 수준이다. 여기에 수도권의 한 초선 의원이 정치에 대한 회의감 때문에 공천 신청을 포기하는 방안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용퇴 대상’으로 거론된 일부 중진은 일찌감치 예비후보 등록을 마치는 등 출마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당내 ‘MB정부 단절론’이 표면화된 상황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친이 핵심 인사들에게 용퇴를 권하기 힘들고, 친박의 경우 집단 퇴진을 주도할 ‘좌장’이 없는 정치적 환경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한 친박계 의원은 “현재 중진 용퇴론은 거론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고, 친이계 의원은 “친이계 상당수가 접전지인 수도권에 위치한 만큼 영남권에 대거 포진한 친박 용퇴와는 달리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대로 공천 신청이 마감되면 새누리당은 현역 평가 등에 의한 인적 쇄신으로 ‘새 피 수혈’에 나설 수밖에 없다.
한 쇄신파 의원은 “중진 불출마 선언이 전무한 것은 지금과 같은 인물난이 이어질 경우 공천을 무난하게 받을 것이라는 판단이 섰기 때문”이라며 “당의 지지부진한 쇄신도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즉 ‘박근혜 비대위’가 기존 한나라당의 부정적 이미지를 불식할 만큼의 대대적 쇄신과 현 정권과의 단절을 이루지 못하면서 외부인재 영입도 차질을 빚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을 비롯해 여권 핵심인사들이 연루된 불미스런 사건이 꼬리를 문 점도 인재 확보의 걸림돌로 꼽힌다.
서울지역 한 의원은 “지금 상황에서 누가 새누리당의 문을 두드리겠느냐”며 “재창당 이상의 쇄신과 함께 비리 의혹을 받는 인사들에 대한 확실한 처벌만이 유일한 돌파구”라고 강조했다.
결국 ‘바람’을 일으키지 못하면서 자발적인 인적 쇄신의 기회를 놓친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현역 하위 25% 공천배제룰’ 등에 의한 강제적 물갈이 과정에서 극심한 내홍에 휩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