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선진당 이인제 비상대책위원장은 21일 이회창 탈당 사태에도 불구하고 당명 개정을 시작으로 당원주권제도 확립 등 혁신 작업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국민생각’ 출신 인사 30여명이 입당한 것을 계기로 박세일 전 국민생각 대표의 영입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인제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 대표실에서 가진 CBS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최근 박세일 전 국민생각 대표와 만나 얘기를 나눴는데 미국 방문 이후에 우리당에 합류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영입 계획을 전했다.
이신범, 이원복 전 의원 등 국민생각 출신 전직 의원과 당직자 32명은 이날 선진당에 입당했다.
이와함께 이 위원장은 혁신적인 당 개혁 추진 의지도 거듭 강조했다. 그 핵심은 진성당원 확대를 통한 완전 당원주권제도 도입이다.
이 위원장은 “지금은 사실상 거품당원이 많은 데 당비를 1천원씩이라도 내는 진성당원 모집을 확대해 나가면서 시간이 많이 걸리더라도 이들을 중심으로 당을 운영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소속감을 가지고 목표와 가치를 공유하는 진성당원 전원에게 투표권을 주는 ‘완전당원주권제도’로 개혁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영국 노동당에서 시행하고 있는 전당원 우편투표제도 도입을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회창 전 대표의 탈당에 대해서는 “큰 일을 하려고 하면 강력한 저항은 불가피하다”며 “지금 당이 낭떠러지에 매달려 손을 놓으면 죽는 상황인데 기사회생을 하기 위해서는 혁명적인 변화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담담하게 받아들였다.
이 위원장은 연쇄 탈당 움직임에 대해서도 “우리당에는 울타리가 없기 때문에 각자 자유 선택에 달려있다”고 개의치 않았다.
새로 태어날 당의 지향점과 관련해 이 위원장은 우선 현실에 기반한 민생 챙기기를 강조했다.
그는 “국민생활은 이념이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의 변화이며, 문제도 해답도 다 현실속에 있는 만큼 완전히 현실주의를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통일 등 민족문제에 대한 소신도 밝혔다.
이 위원장은 “새누리당은 북한에 대해 눈을 감고 있고, 민주통합당 등 진보세력들은 북한 지도부의 눈치를 보면서 비겁하고 비굴한 평화가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한 뒤 “주도적으로 북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전략과 목표를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지도부를 솥뚜껑에, 북한 주민을 솥단지안의 물로 비유하면서 “물을 끓게하면 당연히 솥뚜껑도 뜨거워지는데, 지금까지는 솥뚜껑에만 불을 지피는 우를 범했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가마솥 밑에다 불을 때서 북한 사회의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자유선진당은 지난 7~16일 1천만원의 상금을 걸고 당명을 공모했으며, 22일 당선작을 발표한 뒤 오는 29일 전당대회에서 새로운 당명을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문정림 대변인은 당명과 관련해 “’통일’, ‘국민’, ‘선진’, ‘자유’ 등의 단어가 선호되고 있다”며 “현재 공모작들을 압축해 심사숙고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노컷뉴스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 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 관한 모든 법적인 권한과 책임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또 ‘국민생각’ 출신 인사 30여명이 입당한 것을 계기로 박세일 전 국민생각 대표의 영입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신범, 이원복 전 의원 등 국민생각 출신 전직 의원과 당직자 32명은 이날 선진당에 입당했다.
이와함께 이 위원장은 혁신적인 당 개혁 추진 의지도 거듭 강조했다. 그 핵심은 진성당원 확대를 통한 완전 당원주권제도 도입이다.
이 위원장은 “지금은 사실상 거품당원이 많은 데 당비를 1천원씩이라도 내는 진성당원 모집을 확대해 나가면서 시간이 많이 걸리더라도 이들을 중심으로 당을 운영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소속감을 가지고 목표와 가치를 공유하는 진성당원 전원에게 투표권을 주는 ‘완전당원주권제도’로 개혁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영국 노동당에서 시행하고 있는 전당원 우편투표제도 도입을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회창 전 대표의 탈당에 대해서는 “큰 일을 하려고 하면 강력한 저항은 불가피하다”며 “지금 당이 낭떠러지에 매달려 손을 놓으면 죽는 상황인데 기사회생을 하기 위해서는 혁명적인 변화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담담하게 받아들였다.
이 위원장은 연쇄 탈당 움직임에 대해서도 “우리당에는 울타리가 없기 때문에 각자 자유 선택에 달려있다”고 개의치 않았다.
새로 태어날 당의 지향점과 관련해 이 위원장은 우선 현실에 기반한 민생 챙기기를 강조했다.
그는 “국민생활은 이념이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의 변화이며, 문제도 해답도 다 현실속에 있는 만큼 완전히 현실주의를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통일 등 민족문제에 대한 소신도 밝혔다.
이 위원장은 “새누리당은 북한에 대해 눈을 감고 있고, 민주통합당 등 진보세력들은 북한 지도부의 눈치를 보면서 비겁하고 비굴한 평화가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한 뒤 “주도적으로 북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전략과 목표를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지도부를 솥뚜껑에, 북한 주민을 솥단지안의 물로 비유하면서 “물을 끓게하면 당연히 솥뚜껑도 뜨거워지는데, 지금까지는 솥뚜껑에만 불을 지피는 우를 범했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가마솥 밑에다 불을 때서 북한 사회의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자유선진당은 지난 7~16일 1천만원의 상금을 걸고 당명을 공모했으며, 22일 당선작을 발표한 뒤 오는 29일 전당대회에서 새로운 당명을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문정림 대변인은 당명과 관련해 “’통일’, ‘국민’, ‘선진’, ‘자유’ 등의 단어가 선호되고 있다”며 “현재 공모작들을 압축해 심사숙고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노컷뉴스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 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 관한 모든 법적인 권한과 책임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