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7월 골든타임 놓치면 의미 없어…野 청문회 연계 안돼”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이용섭 부위원장은 26일 민주노총을 향해 “지금은 총파업을 할 때가 아니다”라며 “일자리 혁명과 사회 대개혁을 위해 힘든 길을 가고 있는 대통령을 도울 때”라고 말했다.이 부위원장은 이날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나와 ‘민주노총이 30일 총파업을 예고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부위원장은 “대선 과정에서 민주노총이 요구한 적폐 청산과 사회 대개혁을 문 대통령이 앞장서서 실천하고 있다”며 “민주노총은 새 정부가 하는 일에 반대하려는 뜻을 가진 것은 아니라고 하지만, 저로서는 (총파업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새 정부가 들어오니 세상이 바뀌었다’고 느끼려면 노동계에서도 상응하는 양보와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부위원장은 일자리 추경안과 관련해서는 “6월이 다 지나갔으니 7월에라도 국회가 통과를 시켜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통과가 되더라도 지자체까지 돈이 내려가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의미가 없어진다”며 “바로 지금이 일자리 추경의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
이 부위원장은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인 ‘J노믹스’는 일자리로 시작해 일자리로 완성된다”며 “지금을 놓치면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막지 못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야당을 향해서는 “추경 문제를 장관들 청문회와 연계시켜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야권 일각에서 공무원 증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일자리 가운데 공공부문의 비중이 평균 21%인데, 우리나라는 8.9%에 불과하다”며 “그러다 보니 정부가 국민을 제대로 못 모시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메르스 사태, 세월호 참사 등도 공무원을 적정 수준으로 확보해서 우리가 안전 시스템을 제대로 갖췄다면 예방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일자리 문제를 이제까지 기업에만 맡겼는데 시장의 실패, 민간의 무능만 확인했다”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메워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부위원장은 또 근로시간 단축에 대해 중소기업계와 자영업자의 타격이 우려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생계형 적합업종을 지정하고, 음식점업 의제매입세액공제를 확대하고, 카드 수수료 혜택을 확대하는 등 보완책을 범정부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과 관련해서도 “어떤 기업의 경우 특정 계절에만 일이 있어 비정규직을 쓸 수밖에 없고, 근로자가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자발적으로 시간제 근무를 하는 경우도 있다”며 “실태를 면밀히 파악해 맞춤형 대안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위원장은 “노동시간 단축,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최저임금 1만원 인상 등 3대 현안에 대해 기업들이 불안해 한다”며 “하지만 정부가 사회적 타협을 통해, 맞춤형으로 법제화를 추진할 것이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