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등 주요 당직자들이 27일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심각한 표정으로 ‘대통령 선거 제보 조작 사건’의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동철 원내대표, 박 비대위원장, 김유정 대변인, 박지원 전 대표.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박 전 대표 측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어제 진상조사단장 김관영 의원의 중간발표 후 오늘 오전 박 전 대표와 비서관의 음성 통화기록을 조회했다”며 “4월30일∼5월9일 박 전 대표와 비서관의 쌍방 발신 기록을 조회한 결과 통화 사실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또 “같은 기간 박 전 대표가 이 전 최고위원에게도 전화를 한 사실이 없다”면서 “전날 김 의원의 발표처럼 5월1일 이 전 최고위원이 박 전 대표에게 보낸 바이버 메시지 4개와 통화시도 1건, 5월5일 당 공명선거추진단의 의혹 발표 후 오후 1시25분에 보낸 음성 파일 이외에는 어떤 교신내역도 없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 측은 “김 의원이 어제 이 전 최고위원으로부터 ‘박지원 전 대표에게 전화한 일이 없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발표했기에 결국 박 전 대표와 이 전 최고위원은 제보 문자와 관련해 통화한 사실이 없다”고 설명했다.
전날 이번 사건 진상조사단장인 김 의원은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전 최고위원이 (의혹발표 전인) 5월1일 이유미 씨의 카카오톡 제보를 박 전 대표에게 바이버 문자로 보냈고, 5월5일 의혹 발표 직후에도 제보녹취를 보냈다고 밝혔다.
하지만 박 전 대표의 휴대전화는 두 대인데, 이 전 최고위원이 메시지를 보낸 전화기는 박 전 대표가 아닌 비서관이 갖고 있어 박 전 대표가 해당 메시지를 보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했다고 김 의원은 설명했다.
당시 파견 근무로 박 전 대표와 떨어져 있던 이 비서관이 해당 휴대전화를 갖고 다녔고, 비서관이 해당 문자를 따로 박 전 대표에게 전달하지 않아 결국 박 전 대표가 메시지를 보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박 전 대표 측 관계자는 “진상조사단에서 박 전 대표와 이에 오간 모든 문자와 카카오톡, 바이버 메시지를 확인한 바 있다”면서 “혹시 모를 가능성에 대비해 문자대화 뿐 아니라 통화한 내역도 없음을 알리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