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위 에이욧 공화당 의원 주장
지난 4일 치러진 미국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상원까지 장악하면서 내년 1월 새 의회가 꾸려지면 공화당이 상당수 정책을 좌지우지할 것으로 보인다. 공화당의 핵심 정책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적국’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국방력 강화로, 특히 미사일방어(MD) 확충을 위한 예산 및 연구·개발 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켈리 에이욧 상원의원
미 상원 군사위원회 소속인 켈리 에이욧(공화당·뉴햄프셔) 상원의원은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 미국기업연구소(AEI) 주최 ‘미국 MD의 미래’ 세미나에 참석한 뒤 서울신문 기자와 단독으로 만나 MD 강화 정책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에이욧 의원은 2012년 대선 때 밋 롬니 공화당 후보의 러닝 메이트로 거론됐던 의원으로, 뉴햄프셔주 법무장관을 거쳐 2010년 상원의원에 당선됐다.
에이욧 의원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사드 배치를 전적으로 지지한다”며 “북한 김정은의 미사일 야욕이 커지는 상황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위협을 막기 위해 사드는 꼭 필요하다”고 답했다. ‘사드는 돈이 많이 들고 중국을 자극할 것’이라는 기자의 지적에 “필요한 것이라면 돈이 좀 들더라도 도입해야 한다.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인데 다른 부수적 요인을 고려해서 포기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다른 부수적 요인’은 중국의 반발 등 주변국의 반응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되는데 사드 배치의 필요성은 이를 뛰어넘는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에이욧 의원은 한·미·일 3국의 MD 협력에 대해선 “북한의 점증하는 미사일 위협을 막는 것은 미국 혼자 할 수 없다”며 “특히 우방들과의 협력이 필수적인데 그런 면에서 동맹국인 한국·일본과의 MD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한·미·일 공동 MD 대응은 김정은 정권의 미사일 야욕을 억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 국방전문지 디펜스뉴스는 이날 일본 도쿄발 기사에서 일본 정부가 사드를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전했다. 디펜스뉴스는 “일본 국방부가 북한 미사일 대응을 위해 스탠더드(SM)3형 미사일과 패트리엇(PAC)3형에 덧붙여 3층의 미사일방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사드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글 사진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4-11-2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