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본질 훼손 않는 선에서 표현 달리 사용”
25일 타결된 남북 고위급 접촉 공동보도문은 그 특성상 남과 북이 각각 발표할 때 일부 표현에서 미세한 차이가 있었다. 합의문과 달리 공동보도문은 보통 양측이 문구를 자신의 표현 방식으로 발표하는 데서 오는 차이였다.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발표한 공동보도문 4항은 “북측은 준전시 상태를 해제하기로 했다”였지만 북측이 발표한 공동보도문 4항은 “북측은 ‘동시에’ 준전시 상태를 해제하기로 했다”였다. 또 북측은 이번 접촉에 대해 “쌍방은 최근 북남 사이에 고조된 ‘첨예한’ 군사적 긴장 상태를 해소하고 북남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문제들을 협의했다”고 밝혔다. 반면 김 실장의 발표에는 ‘첨예한’이라는 단어가 빠져 있었다. 정부는 “남북이라는 표현을 북한에선 북남으로 바꿔 사용하듯이 크게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관행적으로 조금씩 표현을 달리해 사용하곤 했다”고 설명했다.
남북 간의 공동보도문 발표 시간이 3분가량 차이 나는 ‘해프닝’도 있었다. 북한 조선중앙방송은 이날 오전 2시 정각에 진행 중이던 음악 방송을 중단하고 해당 소식을 전했다. 남측은 고위 당국자 접촉에 참석했던 김 실장이 청와대에서 직접 타결 소식을 전해 북한보다 3분 늦은 이날 오전 2시 3분부터 발표를 시작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은 방송에서 바로 보도했고, 우리는 청와대로 와서 발표해 이동 시간 때문에 시간 차가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5-08-2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