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회계장부 등 확보… 이르면 내주초 모두 소환
신한은행 고소·고발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부장 이중희)는 2일 신한금융지주의 라응찬 전 회장과 신상훈 사장, 이백순 신한은행장 등 이른바 ‘신한 빅3’의 집무실 등을 동시에 전격 압수수색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라응찬 전 신한금융지주 회장과 신상훈 신한금융지주 사장, 이백순 신한은행장의 집무실과 비서실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이 동시에 실시된 2일 서울 남대문로4가 신한은행 본점 로비에서 검찰 수사관들이 압수품을 담은 상자들을 들고 나오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신한은행이 지난 9월 2일 신 사장 등 7명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과 횡령 혐의로 고소한 지 두 달 만이다. 검찰은 그동안 대출 의혹과 관련, 대출을 받은 투모로그룹 등 해당 기업을 압수수색한 적은 있지만 신한금융지주와 은행을 압수수색한 것은 처음이다.
검찰은 오전 검사와 수사관 수십 명을 서울 중구 태평로2가에 있는 신한금융·은행 본점에 보내 16층 라 전 회장과 신 사장, 6층 이 행장 사무실과 부속실 6~7곳에서 각종 전산자료와 결재서류, 회계장부 등을 확보했다. 검찰 관계자는 “라 전 회장, 신 사장, 이 행장의 고소·고발과 관련된 자료들과 혐의 및 추가 의혹을 밝힐수 있는 자료들을 압수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들 3명이 2005∼2009년 이희건 신한금융지주 명예회장에게 지급할 자문료 15억여원을 빼돌려 쓴 정황을 포착하고 관련 증거를 찾아내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당초 신한은행 측은 신 사장이 이 명예회장의 자문료 15억여원을 횡령했다고 고소했지만 이중 5억원은 라 전 회장과 이 행장이 가져갔다는 진술이 나오면서 ‘빅3’ 모두 횡령 혐의로 검찰의 수사 선상에 올라 있다. 이 행장은 자문료 중 3억원을 직원을 시켜 현금으로 인출해 정권 실세에게 전달했다는 의혹도 정치권에서 제기됐었다.
검찰은 또 라 전 회장이 2007년 차명계좌로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에게 50억원을 전달하는 등 금융실명제법을 위반했다는 의혹과 이 행장이 재일동포 주주에게 기탁금 명목으로 5억원이 입금된 통장을 전달받았다는 의혹도 이번 압수수색에서 새 물증이 나온다면 수사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당분간 압수물을 분석하고 대출 의혹 관련 금강산랜드 관계자를 소환하는 등 빅3 혐의 입증에 주력할 것”이라며 “빅3의 의혹을 모두 수사하는 만큼 이들 소환에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빅3는 다음주 초에 소환 조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승훈·강병철기자 hunnam@seoul.co.kr
2010-11-0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