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아일랜드 이홍기 다니던 학교, 40년만에 결국

FT아일랜드 이홍기 다니던 학교, 40년만에 결국

입력 2012-09-15 00:00
수정 2012-09-1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폐교 위기 성지중·고 김한태 교장 “명문대 진학률 점점 늘고 있는데…”

개교 40년 된 서울의 평생교육시설학교 성지중·고가 위태롭다. 서울시에서 토지를 임대받아 사용하고 있는 강서구 방화동 교정은 오는 11월이면 임대 기간이 끝나 시에 반환해야 한다. 일반 학교를 그만둔 청소년들과 배움의 기회를 놓친 어른들의 마지막 배움터가 자칫 문을 닫을 처지에 놓였다.
이미지 확대
김한태 성지중·고 교장
김한태 성지중·고 교장


이 학교 김한태(78) 교장은 “한때 문제아들이 주로 다니는 학교로 인식돼 주위 시선이 곱지 않았으나 지금까지 1만 37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했고 해마다 대학 진학률이 50~60%를 넘고 있다.”며 “지난해에는 권도형군이 서울대에 합격한 것을 비롯해 연세대 등 명문대 진학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이재영 의원(평택시을), 박순자 전 국회의원, 조길형 영등포구청장, 성백진 서울시의회 부의장, 가수 이정현, FT아일랜드의 이홍기, 트로트 가수 배일호 등이 이 학교 출신이다.

성지중·고는 1972년 4월 김 교장이 영등포 영중초교 가건물에서 시작한 ‘영등포청소년직업학교’가 모태다. 김 교장은 “당시 영등포역 주변에는 전국 각지에서 무작정 상경해 구두닦이, 신문팔이, 껌팔이를 하는 청소년이 많았다.”고 밝혔다. 당시 화물 용달업을 시작한 김 교장은 조수들이 간판 글을 읽지 못하자 한글을 배우면 운전을 배워 물건 배달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주차장에 흑판을 가져다 놓고 한글과 간단한 수학을 가르쳤다. “소문이 삽시간에 퍼지자 청소년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습니다. 배움에 대한 열망이 이 정도일 줄은 상상도 못했습니다.” 당시 고려대 학생이었던 서울 송곡여고 이상준 교장이 김 교장의 야학을 도왔다. “장마철이면 찢어진 천막 사이로 차가운 빗물이 학생들 머리 위로 세차게 떨어졌지만 배우고자 하는 근로 청소년들의 눈망울에서 희망을 봤습니다.”

이후 강서구 화곡동 교남회관 지하 강당을 빌려 강서청소년직업학교로 교명을 바꿨고 1981년 10월 지금의 강서구 화곡동 본관으로 다시 확장 이전했다. 1986년과 1989년 학력인정학교로 지정돼 일반 학교처럼 검정고시를 치르지 않고 중학교, 고등학교 졸업 자격을 얻게 되면서 더욱 발전했다. 학생들을 더 이상 수용할 공간이 없고 건물이 낡자 2009년 4월 방화동의 서울시 시유지를 임대받아 지금의 방화동 캠퍼스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학교의 현재와 미래가 그리 순탄해 보이지 않는다. 평생교육시설학교는 대부분 법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교육 당국으로부터 교사 인건비와 시설비 등을 지원받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로부터 빌려 사용 중인 방화동 캠퍼스의 토지 임대료는 매월 3000만원에 달한다. 그나마 올 11월 23일로 예정된 임대 기간이 끝나면 토지를 반납해야 한다.

김 교장은 “화곡동 본관 건물 재건축 허가를 받았으나 금융 위기에 따른 경기 침체로 120억원의 공사비를 마련하지 못해 착공할 엄두를 못 내고 있다.”면서 “화곡동 본관도 비좁아 방화동 캠퍼스를 서울시에 반납할 경우 신입생 모집을 크게 줄이고 교사의 절반은 어쩔 수 없이 내보내야 한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과거 영등포 야간 천막학교 시절 배우고자 하는 청소년은 모두 받아들여 가르쳐야겠다고 스스로 다짐했다.”며 “본관 증개축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서울시 및 시교육청과 지혜를 모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상봉기자 hsb@seoul.co.kr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폭염에 따른 농산물 물가 현장 긴급 점검 수급 대책 등 주문

폭염과 집중 휴가철을 앞두고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자 서울시의회가 물가 점검과 대책마련을 위한 현장 점검에 나섰다. 29일 오전,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폭염·폭우로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는 등 민생 물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농축산물 수급과 물가안정 대책 점검을 위해 긴급히 가락시장을 방문했다. 이날 현장 방문에는 임춘대 기획경제위원장, 김지향 시민권익위원장, 문영표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이하 ‘공사’) 사장 등과 함께, 가락시장 내 과일 및 채소, 수산물과 채소 점포들을 둘러보며 농축산물 물가 상황을 점검했다. 현장에서 수박(10kg) 3만 7564원, 복숭아(경봉 10kg) 5만 2126원으로 거래돼 전년(2만 5001원, 3만 2016원)대비 각각 50%, 63% 이상 가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청양고추는 평년(3만 8226원)대비 가격이 두 배 이상 증가해 7만 9613원(108%) 기록했다. 특히 최 의장과 위원장들은 공사 사장으로부터 주요 농축산물 수급 현황과 가격 동향은 물론, 이에 대한 공사의 대책 보고를 받았는데, 공사는 소고기, 돼지고기의 공급량은 안정적이나 휴가철 소비 증가와 민생회복 쿠폰 사용 등으로 전년대비 해당 품목의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폭염에 따른 농산물 물가 현장 긴급 점검 수급 대책 등 주문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