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전선 북상 강원·중부 5㎜ 예상… 새달 중후반 돼야 강수량 많아질 듯
지난 주말을 거치며 소강상태를 보였던 장마전선이 북상해 30일 전국에 비를 뿌릴 전망이다. 하지만 이번에도 메마른 중부지방을 흥건히 적셔줄 ‘단비’는 되지 못할 것 같다. 겨우 5㎜도 안 되는 적은 양을 찔끔 뿌린 뒤 7월 1일 제주 남쪽 해상으로 다시 물러날 것으로 보인다.기상청은 29일 “장마전선에서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을 받아 30일 전국이 흐리고 새벽에 제주도와 전남 서해안에서 비(강수확률 60∼90%)가 오기 시작하겠다”면서 “이 비는 낮에 전국 대부분 지역으로 확대된 후 저녁에 중부지방부터 그치기 시작해 늦은 밤에는 대부분 지역에서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수량은 제주 지역은 30~80㎜, 전남과 경남 지역은 10~50㎜ 정도로 예상되지만 정작 가뭄이 극심한 충북, 강원 남부, 서울·경기 남부 등 중부지역은 5㎜ 미만에 불과해 해갈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장마철이 되면 고온다습한 북태평양고기압이 차가운 대륙성 고기압이나 오호츠크 기단과 부딪치면서 장마전선을 형성해야 한다. 하지만 올해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힘이 약해 장마전선을 중부지방까지 밀어올리지 못하고 제주와 남부지방에서만 오락가락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적당한 크기의 태풍 하나가 한반도 남쪽을 지나가기를 바라는 푸념까지 기상 전문가들 사이에 나오고 있다. 태풍이 지나가면 장마전선을 힘껏 중부 이북으로 밀어올릴 수 있을 거란 기대감이다. 기상청 국가태풍센터는 현재 괌 남쪽 해상에 발달하고 있는 저기압대가 제9호 태풍 ‘찬홈’(CHAN-HOM)으로 발달할지를 지켜보고 있다. 태풍으로 확대될 수 있는 ‘대류셀’이 아직 발달하지 못하고 있어서, 태풍으로 발달하기까지 1주일가량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장마 초기에는 장마전선이 남부지방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마가 중후반으로 가면 중부지방에도 어느 정도 강수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5-06-3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