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9월 20대 시청 공무원의 투신사건과 관련해 거듭 사과하고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미지 확대
박원순 서울시장이 17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청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7.10.17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박원순 서울시장이 17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청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7.10.17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박 시장은 17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시민과 공직자들에게 유감 표명이 있어야 하지 않느냐”는 더불어민주당 백재현 의원의 질의에 “이번 사건은 전적으로 제 책임이고, 무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완벽한 대안을 만들 생각”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지난달 26일 열린 직원 정례조회에서도 “모든 것이 다 제 책임”이라며 “많은 시간 반성하고 성찰해 실제로 변화가 일어나도록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에선 지난달 18일 예산과 공무원 A씨(남·28)가 자택에서 투신해 목숨을 끊는 일이 있었다. 2015년 7급 공채로 들어온 그는 지난 1월 예산과 발령을 받은 뒤 격무를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숨지기 전인 8월 한 달 동안에는 170시간 초과 근무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시장은 “(초과 근무를 줄이기 위한) 서울시 차원의 여러 다각적 노력이 있었지만 역부족이었다는 성찰을 하고 있다”며 “지금까지의 대책보다 훨씬 더 강력하고 본질적 대책이 있어야겠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그는 “인력 충원, 사기 진작 방안, 취약한 위치에 있는 여러 직원에 대한 배려, 관리자의 리더십 강화 등 조직 문화를 개선하는 조처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