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락 대학들 반발 “국공립·특정 지역 쏠림… 혁신 기준 뭔가”

탈락 대학들 반발 “국공립·특정 지역 쏠림… 혁신 기준 뭔가”

정철욱 기자
정철욱 기자
입력 2023-06-21 00:51
수정 2023-06-21 06: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곳도 선정 안 된 대구·대전 불만
“지역마다 글로벌大 취지 안 맞아”
사립·전문대도 “도태되게 놔두나”

이미지 확대
김우승 글로컬대학위원회 부위원장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올해 글로컬대학 예비 지정 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김우승 글로컬대학위원회 부위원장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올해 글로컬대학 예비 지정 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5년간 1000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결과를 발표하면서, 탈락한 대학 사이에서 지역별, 대학 유형별 안배가 이뤄지지 않았고 혁신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모호하다는 불만이 쏟아진다.

20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평가 결과 대구, 대전, 제주지역 대학이 단 한 곳도 후보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강원과 경북 등 3곳씩 선정된 지역도 있어 허탈하다는 반응이 나온다.

대구 A대학 관계자는 “집중 지원으로 지역마다 글로벌 수준의 대학을 만들겠다는 취지인데 일부 지역을 완전히 배제하는 게 옳은지 의문이다”며 “대학이 제출한 혁신기획서를 보면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해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곳이 많은데 어떤 기준인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대전의 B 대학 관계자도 “5대 광역시 국립대 중 우리만 빠졌다”며 “광역지자체를 통해 지원하는 방식이어서 단체장의 정치력이 결과를 좌우한 게 아닌가 하는 의심마저 든다”고 했다.

사립대는 7곳만 지정됐는데 국공립대학이 통합을 전제로 공동 신청한 12개 대학이 선정되면서 국공립 쏠림이 발생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부산 C 사립대학 관계자는 “사립대는 통합을 추진하기 어려운 사정을 고려하지 않아 아쉽다”며 “가뜩이나 지방 사립대는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데 고사 위기에 처할 수도 있다”고 했다.

전문대학 사이에서도 대학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불만이 나온다. 안동대와 통합을 전제로 한 경북도립대 한 곳만 예비 지정 명단에 이름을 올렸기 때문이다. 부산 D 전문대 관계자는 “전문대가 먼저 망하고 다음이 4년제 대학 차례라고 할 정도로 어려운 상황인데 전문직업인 양성이라는 전문대 목적을 외면하고 도태되도록 놔두겠다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2023-06-2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