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의 돌출입 치아교정 때 치아를 뽑지 않고 입안에 고정장치만 부착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한국과 미국의 공동 연구팀에 의해 효과가 확인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치과병원 교정과 국윤아 교수팀은 남성 7명 등 20명의 상악(위턱) 돌출 환자를 ‘MCPP’(Modified C-Palatal Plate)라는 교정장치로 치료한 뒤 미국 세인트루이스대학, 애리조나대학 의료진과 함께 3차원 콘빔CT(Conebeam CT)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위턱 첫 번째 어금니가 뒤쪽으로 평균 3.3㎜가량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MCPP는 국 교수팀이 2011년 세계 처음으로 개발한 교정치료 장치로, 입천장에 고정시켜 돌출된 앞니와 치근(치아의 뿌리)을 치아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어금니를 뽑거나 헤드기어 등의 구강외 장치를 장착하는 일반 치아 교정법과 달리 장치가 입 밖으로 노출되지 않아 불편함이 적고, 치아를 뽑는 데 따른 통증과 상처 등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게 의료진의 설명이다.
돌출입은 앞니의 치아와 잇몸이 유난히 튀어나온 형태로, 코와 턱 끝에 비해 입이 앞으로 나와 있는 모습이 대표적이다. 상대적으로 동양인에게 많이 발생하며, 돌출된 상태가 심하면 입술이 다물어지지 않거나 발음이 새기도 한다.
국윤아 교수는 “지금까지 치아를 뽑지 않는 방식으로 돌출입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뿌리가 크고 멀쩡한 어금니까지 뒷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등의 부작용이 많았다”면서 “하지만 MMPP를 이용하면 어금니의 뿌리부터 치아 전체가 수평으로 후방 이동하기 때문에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 치과병원에서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를 담은 논문은 치과 분야 권위지인 미국교정학회지(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AJODO) 7월호에 실렸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치과병원 교정과 국윤아 교수팀은 남성 7명 등 20명의 상악(위턱) 돌출 환자를 ‘MCPP’(Modified C-Palatal Plate)라는 교정장치로 치료한 뒤 미국 세인트루이스대학, 애리조나대학 의료진과 함께 3차원 콘빔CT(Conebeam CT)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위턱 첫 번째 어금니가 뒤쪽으로 평균 3.3㎜가량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MCPP는 국 교수팀이 2011년 세계 처음으로 개발한 교정치료 장치로, 입천장에 고정시켜 돌출된 앞니와 치근(치아의 뿌리)을 치아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어금니를 뽑거나 헤드기어 등의 구강외 장치를 장착하는 일반 치아 교정법과 달리 장치가 입 밖으로 노출되지 않아 불편함이 적고, 치아를 뽑는 데 따른 통증과 상처 등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게 의료진의 설명이다.
돌출입은 앞니의 치아와 잇몸이 유난히 튀어나온 형태로, 코와 턱 끝에 비해 입이 앞으로 나와 있는 모습이 대표적이다. 상대적으로 동양인에게 많이 발생하며, 돌출된 상태가 심하면 입술이 다물어지지 않거나 발음이 새기도 한다.
국윤아 교수는 “지금까지 치아를 뽑지 않는 방식으로 돌출입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뿌리가 크고 멀쩡한 어금니까지 뒷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등의 부작용이 많았다”면서 “하지만 MMPP를 이용하면 어금니의 뿌리부터 치아 전체가 수평으로 후방 이동하기 때문에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 치과병원에서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를 담은 논문은 치과 분야 권위지인 미국교정학회지(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AJODO) 7월호에 실렸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