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야구에서는 프로에서는 좀처럼 찾아볼 수 없는 이색 규정이 마련돼 눈길을 끈다.
광저우 아시안게임 야구 관련 규정에 따르면 이번 대회에서도 2008년 베이징올림픽부터 활성화한 승부치기 등 독특한 규정이 도입됐다.
승부치기는 경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마련한 규정으로 양팀이 9회까지 승부를 가리지 못했을 때 적용된다.
양팀은 연장 10회에서 무사 주자 1,2루 상황에서 공격을 시작한다.9회 종료 때와 다른 라인업을 새롭게 짤 수는 없지만 감독이 원하는 타자부터 타석에 들어설 수 있다.
10회에서도 양팀이 비긴다면 11회에도 무사 주자 1,2루의 상황이 주어진다.다만 6번 타자가 10회 마지막 타자였다면 11회에는 7번 타자부터 공격해야 한다.
또 타자가 홈런을 쳤을 경우 베이스를 돌아 홈으로 돌아올 때까지 동료나 코치와 접촉하면 안 된다.프로야구에서는 타자가 홈런을 친 뒤 1루 또는 3루 코치 등과 하이파이브 등을 나누는 게 일반적이다.
만약 타자가 규칙을 위반하면 감독이 경고를 받는다.그럼에도 또 위반하면 팀에는 벌금이 부과되고 감독은 퇴장된다.
또 수비 측이 타임을 불렀을 때 내야수 한 명만 투수 마운드로 갈 수 있다는 점도 프로야구와는 다르다.프로야구에서는 타임 때 대개 내야수 모두가 투수 주위로 몰려간다.
아울러 이번 대회에서는 경기 진행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12초 룰’(주자가 없을 때 투수가 12초 이내에 투구하도록 하는 규칙)도 도입했다.
애초 주자의 유무와 관계없이 12초룰이 적용될 예정이었으나 11일 각 팀 대표자 회의에서 주자가 있을 때는 12초룰을 적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각 팀 대표자는 또 3회와 6회 2분씩 클리닝타임을 두기로 했고 6심제에도 동의했다.
대표자들은 또 경기가 펼쳐지는 아오티야구장 제1필드 내야에 비치된 방수포와 관련된 ‘로컬 룰’도 마련했다.타구가 방수포 사이에 끼면 ‘볼 데드’가 되고 공이 튕겨 나오면 인플레이가 되는 것으로 합의했다.
연합뉴스
광저우 아시안게임 야구 관련 규정에 따르면 이번 대회에서도 2008년 베이징올림픽부터 활성화한 승부치기 등 독특한 규정이 도입됐다.
승부치기는 경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마련한 규정으로 양팀이 9회까지 승부를 가리지 못했을 때 적용된다.
양팀은 연장 10회에서 무사 주자 1,2루 상황에서 공격을 시작한다.9회 종료 때와 다른 라인업을 새롭게 짤 수는 없지만 감독이 원하는 타자부터 타석에 들어설 수 있다.
10회에서도 양팀이 비긴다면 11회에도 무사 주자 1,2루의 상황이 주어진다.다만 6번 타자가 10회 마지막 타자였다면 11회에는 7번 타자부터 공격해야 한다.
또 타자가 홈런을 쳤을 경우 베이스를 돌아 홈으로 돌아올 때까지 동료나 코치와 접촉하면 안 된다.프로야구에서는 타자가 홈런을 친 뒤 1루 또는 3루 코치 등과 하이파이브 등을 나누는 게 일반적이다.
만약 타자가 규칙을 위반하면 감독이 경고를 받는다.그럼에도 또 위반하면 팀에는 벌금이 부과되고 감독은 퇴장된다.
또 수비 측이 타임을 불렀을 때 내야수 한 명만 투수 마운드로 갈 수 있다는 점도 프로야구와는 다르다.프로야구에서는 타임 때 대개 내야수 모두가 투수 주위로 몰려간다.
아울러 이번 대회에서는 경기 진행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12초 룰’(주자가 없을 때 투수가 12초 이내에 투구하도록 하는 규칙)도 도입했다.
애초 주자의 유무와 관계없이 12초룰이 적용될 예정이었으나 11일 각 팀 대표자 회의에서 주자가 있을 때는 12초룰을 적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각 팀 대표자는 또 3회와 6회 2분씩 클리닝타임을 두기로 했고 6심제에도 동의했다.
대표자들은 또 경기가 펼쳐지는 아오티야구장 제1필드 내야에 비치된 방수포와 관련된 ‘로컬 룰’도 마련했다.타구가 방수포 사이에 끼면 ‘볼 데드’가 되고 공이 튕겨 나오면 인플레이가 되는 것으로 합의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