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상 왕언니 “내 몫까지 부탁해”

부상 왕언니 “내 몫까지 부탁해”

입력 2012-02-15 00:00
수정 2012-02-15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SK핸드볼 코리아리그 개막

SK핸드볼 코리아리그가 14일 막을 올렸다. 전날 미디어데이에서 여자부 감독들은 서로를 우승 후보로 꼽는 훈훈함(?)을 연출했다.

하지만 소외된 팀이 있었다. 지난해 리그를 건너뛴 경남개발공사였다. 박영대 감독이 “1년 공백이 있어 긴장되지만 초심으로 돌아가겠다.”고 했고, 김은경은 “지난해 다른 팀 경기를 보니까 정말 뛰고 싶더라.”고 했다. 지난해 전국체전 3위를 했어도 다른 팀의 얕보는 분위기는 달라지지 않았다.

골키퍼 문경하(32)의 부재가 컸다. 그동안 경남은 골키퍼로 반을 먹고 들어갔다. 나이 마흔의 오영란(인천체육회)까지 뛰는 마당에 노장 축에 들지도 못하지만, 경남에선 그의 바로 아래가 23세 정소영·곽한얼·조지은이다. ‘막내이모’를 자임하는 그로선 공수 조율은 당연하고 정신적 지주까지 돼야 했다.

1999년 노르웨이 세계선수권 때 막내로 태극마크를 달았고 ‘우생순’을 썼던 아테네올림픽을 거쳐 지금까지 대표팀을 지키고 있다. 런던올림픽에서도 수문장을 찜한 상태. 핸드볼은 “필드플레이어 6명의 역할이 10%씩이라면 골키퍼 혼자 40%”라 할 정도로 절대적이다. 그런 ‘왕언니’가 없다.

지난해 말 브라질 세계선수권 뒤 발목 부상이 심해졌다. 인대가 끊어지고 뼛조각도 굴러다녔다. 지난 1월 수술대에 올랐고 이제 막 깁스를 풀었다. 부기가 빠지면 이달 말 재활에 들어간다. 선수생활 중 처음 있는 일이다. 이날 서울시청과의 개막전도 벤치에서 지켜봤다. 팀은 이렇다 할 승부처도 없이 21-35로 졌다.

애가 탔고 미안했다. 하지만 실망했을 동생들에게 당부의 말을 잊지 않았다. “최선을 다하면 언젠가 최고의 자리에 오른다. 점수 차가 많이 벌어져도 좌절하지 말고 즐기면서 경험을 쌓자.”고 다독였다.

이날 남자부 경기에선 인천도시개발공사가 후반에만 6골을 몰아 넣은 유동근의 활약에 힘입어 웰컴론코로사를 24-19로 제쳤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2012-02-15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