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웨더 vs 맥그리거 승자 벨트에 ‘욱일기’라니

메이웨더 vs 맥그리거 승자 벨트에 ‘욱일기’라니

김태이 기자
입력 2017-08-25 14:07
수정 2017-08-25 14: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벨트에 새겨진 각 나라 국기 중 일본은 욱일기

‘세기의 대결’ 승자에게 주어질 벨트에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욱일기’가 새겨져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머니 벨트’에 새겨진 ’욱일기’
’머니 벨트’에 새겨진 ’욱일기’ 27일(한국시간)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의 T-모바일 아레나에서 열리는 ’무패 복서’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40·미국)와 ’격투기 최강자’ 코너 맥그리거(29·아일랜드)의 ’세기의 대결’ 승자에게 주어질 일명 ’머니 벨트’에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욱일기’(빨간 원)가 버젓이 새겨져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WBC 공식 트위터 캡처
’머니 벨트’에 새겨진 ’욱일기’
’머니 벨트’에 새겨진 ’욱일기’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의 T-모바일 아레나에서 열리는 ’무패 복서’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40·미국)와 ’격투기 최강자’ 코너 맥그리거(29·아일랜드)의 ’세기의 대결’ 승자에게 주어질 일명 ’머니 벨트’에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욱일기’(빨간 원)가 버젓이 새겨져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WBC 공식 트위터 캡처
세계복싱평의회(WBC)는 24일(이하 한국시간)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플로이드 메이웨더 주니어(40·미국)와 코너 맥그리거(29·아일랜드)의 대결 승자에게 주어질 벨트를 공개했다.

두 선수의 격돌은 ‘세기의 대결’로 불리지만 타이틀이 걸린 시합은 아니다. 그런데도 WBC는 일회성 벨트를 제작하는 수고를 마다치 않았다.

돈이 아니었다면 성사되지 않았을 두 선수의 대결을 상징하듯 벨트의 명칭 자체도 ‘머니 벨트’다.

마우리시오 술라이만 WBC 회장이 손수 소개한 이 벨트는 이탈리아 악어가죽에 3천360개의 다이아몬드, 600개의 사파이어, 300개의 에메랄드, 1.5㎏의 순금 등 화려한 보석들을 촘촘히 박아 호화롭기 그지없다.

2년 전 메이웨더와 매니 파키아오(39·필리핀)의 경기 때도 유사한 벨트가 제작된 바 있다. 당시 벨트의 명칭은 ‘에메랄드 벨트’였다.

미국 현지에서는 메이웨더와 맥그리거의 경기 매출이 7억 달러(약 7천912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부 분석가들은 심지어 10억 달러(1조1천303억원)를 말하고 있다.

메이웨더와 파키아오 대결 때의 5억5천만∼6억 달러(약 6천216억∼6천782억원)를 훌쩍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과연 두 선수의 ‘세기의 대결’이 이러한 천문학적인 금액에 비례하는 멋진 시합이 될지, 아니면 비평가들이 말하는 것처럼 ‘세기의 서커스’가 될지는 지켜봐야 하겠지만, 우리로서는 먼저 눈살부터 찌푸리게 된다.

이 벨트에 장식된 세계 각국의 국기 가운데 욱일기가 버젓이 들어가 있어서다.

욱일기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전범국이었던 일본의 군대가 쓰던 깃발이다.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져 서양의 나치 하켄크로이츠와 같이 금기시하는 것이 일반 상식이다.

경기를 지켜보는 한국 팬들은 세계가 보는 앞에서 이 대결의 승자가 욱일기가 새겨진 벨트를 허리에 두르는 모습을 보게 생겼다.

메이웨더와 맥그리거의 경기는 오는 27일 라스베이거스의 T-모바일 아레나에서 12라운드 복싱 대결로 치러진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