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으로 추대된 허창수 GS그룹 회장이 전경련 운영과 관련해 “열심히 봉사하는 마음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허창수 GS그룹 회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허창수 GS그룹 회장
허 회장은 18일 오전 서울 역삼동 GS타워 2층 로비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허 회장은 회장직을 고사하다가 수락한 이유에 대해 “원로들과 회장단이 워낙 강하게 요청해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전날 전경련은 회장단과 재계 원로회의를 갖고 허 회장을 회장으로 추대했다. 허 회장은 이를 수차례 고사했지만 박용현 두산그룹 회장 등 총수들의 거듭된 제안에 뜻을 굽혔다. 허 회장은 오는 24일 열리는 전경련 총회에서 현 조석래(효성그룹 회장) 회장에 이어 2년 임기의 제33대 회장으로 공식 취임하게 된다.
그는 또 ‘구본무 LG그룹 회장과 사전에 상의를 했느냐.’는 질문에는 “상의하지 않았다.”면서 기업들의 현안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겠다. 생각해봐야겠다.”고 말했다.
허 회장이 전경련 회장직을 맡으면서 재계에서는 과거 GS그룹과 한솥밥을 먹었던 LG그룹과 전경련의 관계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도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구 회장은 1999년 반도체 빅딜 과정에서 전경련이 LG반도체를 당시 현대전자(하이닉스 반도체 전신)에 넘기는 중재안을 내놓자 이에 반발, 지금까지 전경련 행사에 참석하지 않고 있다.
‘아침형 오너’로 유명한 허 회장은 이날도 오전 일찍 출근, 임원들에게 경영 현안을 보고받은 뒤 오전 9시쯤 본사로 찾아온 정병철 전경련 상근 부회장을 만나 면담을 했다. 정 부회장은 허 회장에게 전경련이 풀어야 하는 각종 경제 현안과 회장단 운영, 재계 결속 방안 등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1-02-19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