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용산구의 시중은행 현금자동인출기(ATM) 앞에서 한 시민이 돈을 찾고 있다. 2024.09.02. 뉴시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은행권의 수신 금리가 줄줄이 하락하고 있지만, 가계대출 수요 억제 차원에서 대출금리는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 은행의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만 확대되는 가운데, 계엄 사태가 탄핵 정국으로 장기화하면서 금융 취약계층의 대출 문턱만 높아질 전망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SC제일은행은 전날부터 거치식예금 3종 금리를 최대 0.25% 포인트 인하했다. 지난달 초에는 예·적금 금리를 최대 0.80% 포인트 인하한 바 있다. 케이뱅크도 지난 2~3일 이틀에 걸쳐 예·적금 금리를 최대 0.30% 포인트 낮췄다. 일부 상품은 기본금리를 1.5% 포인트 그대로 유지하되 우대금리를 2.50%에서 2.20%로 조정했다.
5대 시중은행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NH농협은행은 지난 6일 비대면 전용 상품의 예금 금리를 3.3%에서 3.22%로 0.08% 포인트 내렸다. 2일 0.1% 포인트 인하까지 합치면 이달 새 0.18% 포인트를 내린 셈이다. 농협은행을 제외한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대표 예금상품 금리는 이날 기준 3.2%로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10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금리를 낮춘 만큼, 은행권의 수신 금리 인하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이날 기준으로 5대 은행의 주요 정기예금 상품 최고금리는 연 3.15~3.55% 수준으로 집계됐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된 지난 10월 12일(3.35~3.80%)과 비교하면 하단이 0.20% 포인트, 상단이 0.25% 포인트 낮아진 셈이다.
다만 탄핵 정국에 은행권이 위기관리 수준을 더 높이게 되면, 저신용자나 중소기업이 대출 절벽에 몰릴 거라는 우려도 나온다. 환율이 급등해 은행권의 외화 유동성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은행의 위험가중자산(RWA)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담보가 확실한 차주나 우량 기업 위주로 대출을 실행할 수밖에 없다. 은행권 관계자는 “고환율 상황이 유지되면 연말에 이어 연초에도 위험도가 높은 차주 대상 영업이 여의찮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