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 대전환에 힘 보태겠다”
카카오·서울대 등과 협력 강화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 뉴스1
챗GPT 운영사인 오픈AI가 국내 지사 ‘오픈AI 코리아’를 공식 설립했다. 글로벌 기준 열두 번째 지사이자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 일본에 이어 세 번째다. 오픈AI는 출범식에서 국내 인공지능(AI) 대전환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10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출범식엔 한국계 미국인인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가 참석했다. 권 CSO는 “한국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업이 많고 자체 AI 모델도 가진 풀스택 AI 파워를 갖춘 나라”라면서 “우리의 고도화된 AI를 한국에 제공하고 다양한 협력을 진행해 국가 차원의 AI 대전환에 힘을 보태고 싶다”고 했다.
한국 지사 설립 이전부터 오픈AI는 국내 기업들과 다양한 협력 관계를 구축해왔다. 카카오와는 전략적 제휴를 맺고 카카오톡에 챗GPT 연동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건설·전자·통신·금융·여행·게임·이커머스·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 선도 기업들도 GPT-5와 같은 최첨단 AI 기술을 도입한 상태다.
오픈AI는 이러한 협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향후 반도체와 하드웨어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SK와의 협력을 시사하기도 했는데, 권 CSO는 “로컬 파트너십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데이터센터 수준 파트너십이나 반도체, 하드웨어에서의 SK나 삼성전자와의 파트너십을 고려한다”고 언급했다.
11일엔 국내 대학 중에선 처음으로 서울대와 AI 연구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해 학계와의 협력을 본격화한다. 나아가 ‘오픈AI 포 컨트리’ 이니셔티브로 한국 정부와의 협력 강화에 나서는 한편, 정부가 추진 중인 ‘소버린 AI’ 정책에 대해 오픈AI는 비즈니스 파트너로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오는 11월엔 개발자, AI 연구자 등과 오픈AI 기술을 공유하는 ‘데브데이 익스체인지’를 국내에서 연다.
챗GPT는 2022년 출시 이후 최근 주간 활성 사용자 수 7억명을 돌파했으며, 국내 챗GPT 사용은 API 기준 전 세계 10위권에 포함돼 있다.
2025-09-1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