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반도체 상생협 출범
도·삼성전자 등 80개 기관·기업 참여
11일 충남 반도체 상생협의체 출범식이 열리고 있다. 도 제공
충남도·천안시·아산시 등 지자체와 대학, 기업 등 80개 기관·기업이 충남의 반도체산업 상생 발전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도는 11일 아산 모나밸리에서 충남 반도체 상생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했다.
상생협의체는 도와 천안·아산시를 비롯해 공주대 등 7개 교육기관, 충남테크노파크 등 9개 연구기관·단체, 삼성전자 등 61개 기업이 참여했다.
상생협의체는 수요 기반형 현장 기술 지원과 시제품 제작·전주기 사업화 지원, 연구개발 기획 컨설팅 지원, 반도체학과 신규 프로그램 개발 등을 추진한다.
충남 반도체 상생협의체 출범식이 열리고 있다. 도 제공
주요 프로그램은 △반도체 혁신 프로그램 등 정보 제공 △상생협의체 회원사 산업 핵심 정보 교류 프로그램 참여 기회 제공 △도 반도체 관련 공모 사업 상생협의체 참여 기업 우대 지원 등이다.
도와 천안·아산시는 반도체 투자 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육성과 지원, 정부와 관계기관 협의 등 행·재정적 지원을 펼친다.
이날 출범식에서 도와 하나은행·농협은행·케이앤투자파트너스·그래비티벤처스도 충남 반도체산업 투자 활성화와 관련 산업 육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금융기관은 도내 반도체 기업에 정책자금을 원활하게 지원하고, 투자기관은 유망 반도체 기업을 발굴·투자해 반도체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돕는다.
충남 반도체산업 투자 활성화와 관련 산업 육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식이 열리고 있다. 도 제공
이날 김태흠 지사는 “세계는 지금 반도체 전쟁 중이고, 충남은 그 한복판에 서 있다”며 “반도체산업 기반 구축을 위해 1조 6000억원 규모 천안 국가산단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다양한 실증 사업과 테스트베드 구축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1조 30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투입해 기업 경영 안정을 돕고, 약 5000억원 펀드를 운용해 유망 반도체 기업 지원도 제시했다.
김 지사는 “반도체가 단지 도내 기업 1350개, 2만 4000여명 종사자 문제가 아닌, 충남과 대한민국의 생존이 걸린 문제인 만큼, 사활을 걸고 뛰겠다”고 말했다.
도는 반도체 첨단 패키징을 미래 신산업으로 중점 육성을 위해 2023년 12월 ‘첨단 반도체 산업 육성 세부 계획’을 수립하고, 조례를 제정해 반도체산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반도체 수출액은 370억 달러로,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액 1001억 달러의 36.9%를 차지하며 전국 2위를 유지 중이다.
도·삼성전자 등 80개 기관·기업 참여

11일 충남 반도체 상생협의체 출범식이 열리고 있다. 도 제공
충남도·천안시·아산시 등 지자체와 대학, 기업 등 80개 기관·기업이 충남의 반도체산업 상생 발전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도는 11일 아산 모나밸리에서 충남 반도체 상생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했다.
상생협의체는 도와 천안·아산시를 비롯해 공주대 등 7개 교육기관, 충남테크노파크 등 9개 연구기관·단체, 삼성전자 등 61개 기업이 참여했다.
상생협의체는 수요 기반형 현장 기술 지원과 시제품 제작·전주기 사업화 지원, 연구개발 기획 컨설팅 지원, 반도체학과 신규 프로그램 개발 등을 추진한다.

충남 반도체 상생협의체 출범식이 열리고 있다. 도 제공
주요 프로그램은 △반도체 혁신 프로그램 등 정보 제공 △상생협의체 회원사 산업 핵심 정보 교류 프로그램 참여 기회 제공 △도 반도체 관련 공모 사업 상생협의체 참여 기업 우대 지원 등이다.
도와 천안·아산시는 반도체 투자 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육성과 지원, 정부와 관계기관 협의 등 행·재정적 지원을 펼친다.
이날 출범식에서 도와 하나은행·농협은행·케이앤투자파트너스·그래비티벤처스도 충남 반도체산업 투자 활성화와 관련 산업 육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금융기관은 도내 반도체 기업에 정책자금을 원활하게 지원하고, 투자기관은 유망 반도체 기업을 발굴·투자해 반도체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돕는다.

충남 반도체산업 투자 활성화와 관련 산업 육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식이 열리고 있다. 도 제공
이날 김태흠 지사는 “세계는 지금 반도체 전쟁 중이고, 충남은 그 한복판에 서 있다”며 “반도체산업 기반 구축을 위해 1조 6000억원 규모 천안 국가산단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다양한 실증 사업과 테스트베드 구축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1조 30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투입해 기업 경영 안정을 돕고, 약 5000억원 펀드를 운용해 유망 반도체 기업 지원도 제시했다.
김 지사는 “반도체가 단지 도내 기업 1350개, 2만 4000여명 종사자 문제가 아닌, 충남과 대한민국의 생존이 걸린 문제인 만큼, 사활을 걸고 뛰겠다”고 말했다.
도는 반도체 첨단 패키징을 미래 신산업으로 중점 육성을 위해 2023년 12월 ‘첨단 반도체 산업 육성 세부 계획’을 수립하고, 조례를 제정해 반도체산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반도체 수출액은 370억 달러로,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액 1001억 달러의 36.9%를 차지하며 전국 2위를 유지 중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