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3년 새 두 배 가까이 늘고
빗썸도 3년 연속 두 자릿수 상장
거래대금도 작년 대비 두 배 급증

‘비트코인 강세장’(불장)에 국내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시장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는 1~2위 사업자 업비트와 빗썸의 신규 코인 상장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8일 서울신문이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 가운데 업비트와 빗썸의 신규 상장을 분석한 결과 업비트는 2023년 24개에서 지난해 37개, 올해(1~8월) 46개로 3년새 상장 코인 종목 수가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빗썸도 같은 기간 89개, 80개, 96개로 신규 상장 코인이 3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갔다.
상장폐지도 흐름이 비슷하다. 업비트는 2023년 10건, 지난해 3건에서 올해(1~8월) 11건으로 다시 늘어나며 신규 상장 확대와 함께 상장폐지도 역대 최대를 찍었다. 빗썸은 같은 기간 26건, 19건, 20건으로 상장 폐지 종목이 꾸준히 20건에 달하는 모양새다. 전체 상장 대비 폐지 비율은 업비트가 지난해 8%에서 올해 24%로 높아진 반면, 빗썸은 24%에서 21%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거래대금도 급증했다. 올해 1~8월 업비트와 빗썸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각각 32억 272만달러, 12억 1996만달러로 합계 44억 2268만달러에 달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22억 3574만달러)보다 두 배나 급증했다.
다만 두 거래소의 전략은 엇갈린다. 업비트는 원화·비트코인·테더 세 가지 마켓을 중심으로 일부 종목을 원화마켓으로 전환해 거래 기반을 넓혀왔다. 빗썸은 밈코인 등 투자자 관심이 높은 종목을 선제적으로 상장하며 거래량 확대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이 과정에서 업비트의 거래대금은 2년 새 70% 증가했으며, 빗썸은 3억달러대에서 12억달러대로 치솟으며 3배 이상 폭증했다. 업계는 올해 전체 거래대금이 2021년 이후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쉽게 상장된 코인은 잦은 상폐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그럴 경우 투자자 보호는 사실상 어렵다”며 “당국의 제도적 관리와 지도가 필요하다 ”고 말했다.
2025-09-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