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조 순익에도 파랗게 질린 금융주…불황·대손충당·금리압박 ‘삼중고’[경제 블로그]

9조 순익에도 파랗게 질린 금융주…불황·대손충당·금리압박 ‘삼중고’[경제 블로그]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2-07-10 18:00
수정 2022-07-11 02: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리인상 수혜주 인식에도 ‘흔들’
우리銀 자사주 매입 나서며 진화

이미지 확대
금리가 오르면 이자이익이 커지는 업종의 특성상 금리 인상기의 ‘수혜주’로 꼽히던 금융주가 흔들리고 있다. 경영진이 나서서 자사주를 매입하는 ‘주주 달래기’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다. 경기 침체 우려, 가계대출 규모 감소와 함께 금융 당국의 손실흡수능력 확충 요구, 금리 인하 압박 부담 등 악재가 많아 앞으로도 주가 반등은 쉽지 않아 보인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그룹의 시가총액은 지난 8일 기준 57조 4275억원으로 지난해 말(63조 7518억원)과 비교해 6조 3243억원 줄었다. KB금융은 같은 기간 5만 5000원에서 4만 7000원으로, 하나금융은 4만 2050원에서 3만 7200원으로 모두 앞자리가 바뀌었다. 우리금융은 1만 2700원에서 1만 1600원으로, 신한금융은 3만 6800원에서 3만 6250원으로 떨어졌다. 주식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영향도 있지만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이 2% 정도 불어난 지난 일주일(4~8일) 동안에도 4대 금융그룹의 시가총액은 평균 4%나 떨어졌다.

올해 상반기에도 4대 금융그룹은 9조원에 육박하는 당기순이익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울 것으로 전망되지만 주가는 정반대의 길을 가고 있다는 얘기다. 경기 침체 우려로 금융사의 건전성 저하 등이 주가에 반영된 데다 부실채권 리스크를 대비해 적립하는 대손충당금도 더 쌓아야 해서다. 기업대출이 여전히 증가세지만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하는 추세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을 필두로 한 정부·여당의 금리 인하 압박도 예대마진에는 부정적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우리금융 경영진은 자사주를 매입하면서 분위기 전환에 나서기도 했다. 경영진의 주식 매입은 시장에서 ‘저점 시그널’로도 읽힌다. 다른 금융그룹들도 배당성향 확대를 통한 장기적인 주주 환원 확대를 목표로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신한금융은 3분기까지 400원의 배당금을 유지하고, KB금융은 오는 8월 중순까지 분기배당을 할 계획이다. 하지만 시장 전망은 여전히 밝지 않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주가 하락은 실적보다는 규제 이슈와 밝지 않은 향후 전망에 따른 것”이라며 “은행들의 가계대출이 역성장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기 침체와 함께 부실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2-07-1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