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를 출발할 때 기자는 방진복, 마스크, 장갑을 몽땅 챙겼다. 여차하면 착용하려고 했던 것들이다. 하지만 준비해간 보호장구는 결국 그대로 들고왔다. 방사능이 눈에 보이지 않은 탓도 있지만 이와키 주민들과 같이 하고 싶었다. 이와키에선 마스크를 쓴 사람은 많았지만 장갑을 끼거나 방호복을 걸친 사람은 없었다. 일본 정부와 이와키 시가 발표하는 방사능 수치를 일단 믿어보자는 마음도 있었다.
후쿠시마현 이와키는 흔히 말하듯 불안과 희망이 교차하는 곳이 아니었다. 그냥 그 둘이 한덩어리로 뒤엉켜 있었다. 이와키에서 쓰나미 피해가 가장 컸다는 해안마을 도요마에서 만난 시케 다이스케(41.회사원). 바다에 접한 그의 집은 어디가 앞인지 뒤인지 구분이 가지 않을 만큼 망신창이가 됐다. 폐허더미를 뒤적이던 그에게 취재하러 왔다고 하니 잠깐 들어와서 보라고 했다. 참혹했다. 하지만 시케는 “아직 마음은 못 정했지만 잘 수리해서 다시 살 생각도 있다.”고 했다. 그의 집 벽에는 후쿠시마 방언으로 ‘がんばっぺ’(간밧뻬·힘내라)라는 격려가 페인트로 써있었다. 누군가 스스로를 격려하고 이웃에게도 힘을 주자는 뜻이었을 것이다.
대피소에서 만난 7살된 마리와 2살난 미호. 천진난만한 두 아이의 눈빛에도 희망이 어른댔다. 지진이 난 11일 밤부터 피난소에 왔다는 마리는 활짝 웃는 얼굴로 이곳 생활이 “즐겁다.”고 했다. 방사능 공포 때문에 체육관 밖을 한번도 못 나간 이 아이에게 즐거움은 무엇일까. 그곳 80명의 피난민 중 유일한 어린이인 이들은 피난민의 귀염둥이이자 웃음거리이고 희망이라고 했다.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