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암 스님 ‘선정겸수’ 출판간담회
기복을 염불로 보는 통념 바로잡고‘삶 전체를 수행의 자리로 삼자’ 제안“삶 그대로가 참선이고 일 그대로가 염불이 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수행입니다.”

월암 스님
한국 불교계의 대표 수좌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월암 스님의 가르침이다. 좌선만을 선이라 하고 기복을 위한 호명만을 염불로 보는 통념을 바로잡고, 삶 전체를 수행의 자리로 삼자는 제안이다. 월암 스님은 최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신간 ‘선정겸수(禪淨兼修)’ 출판간담회를 갖고 “선(참선)과 정토(염불)가 구분된 것이 아니며 모든 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불성을 깨닫는 방편”이라고 강조했다.

월암 스님은 간화선과 돈오선의 사상체계를 확립하고 경북 문경의 한산사 용성선원과 수행공동체 ‘불이선회’를 이끄는 등 ‘눈푸른 납자’(맑고 지혜로운 눈의 수행자)라 불린다. ‘선정겸수’는 그가 한국불교 전통 수행 사상인 선(禪)·율(律)·정토(淨土)를 융합해 역대 조사들의 이론과 사상 속에서 선과 정토가 어떻게 함께 수행됐는지 밝힌 책이다.
월암 스님은 절에 선방은 많아도, 염불원은 드물어진 현 세태에 관해 “염불 수행을 하는 스님이나 재가자, 일반 불자들이 많이 있지만 염불이 수행이 아닌 기도의 방편으로 채택되고 있다”며 “생사해탈 수단으로 승화되지 못하고 기복적인 염불로 전락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선정겸수’는 수행자 중심으로 쓰였다. 월암 스님은 “불교 교리에 어두운 일반인으로선 수용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여러 가지 선 수행 방편 가운데 호흡과 명상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2025-09-0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