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군위안부 日태도 변화 주시…”정상 만남 자동적 연결은 일러”
한일 양국이 미얀마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기회에 11개월 만의 외교장관 회담을 개최하면서 장기간 경색된 한일관계에 앞으로 어떤 변화가 나타날지 주목된다.일단 이번 회담에서 구체적인 성과가 도출되지는 않았지만 양국의 관계 정상화에 대한 의지 측면에서 이전과는 다른 분위기를 읽을 수 있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 당국자는 회담 직후인 지난 9일 “전반적 분위기는 잘 풀어보자는 시그널이었다고 생각한다”면서 “양국 장관이 만난다고 해서 한일 간 급격한 전환점이 되기보다 이런 계기로 해서 하나씩 신뢰를 축적하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일단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번 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에게 “첫 걸음은 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이라면서 일본에 다시 공을 던진 상태이다.
이에 따라 이달 중·하순으로 추진 중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4차 국장급 협의가 일본의 자세 변화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10일 “앞으로 실무자 간에 얘기를 하는 과정에서 일본이 어떻게 나올지를 주목해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일본의 패전일인 오는 15일을 전후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야스쿠니(靖國) 신사에 참배할 것인가도 중요 변수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관련한 아베 총리 및 일본 각료·정치인의 동향은 우리 정부의 대일 메시지가 담길 박근혜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과거사 문제에 대한 양국 간 실무적 협의에서 일본이 보이는 태도 변화에 주목하면서 한일관계 변화 여부를 모색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차원에서 현재의 흐름이 올 가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다자회의 계기를 통한 한일 정상회담으로 곧바로 이어질 것이라고 속단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정부 내 분위기다.
고위 당국자는 “외교를 하는 장관이나 실무자들이 만나는 것을 정상이 만나는 것과 자동적으로 연결해서 보는 것은 아직은 이르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