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위 논의 부진 땐 이르면 주말 시작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과 이사국들이 비공식 전화 접촉 등을 통해 북한의 연평도 포격 문제를 다룰 긴급회의 개최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했다.안보리 순회 의장국인 영국의 마크 라이얼 그랜트 유엔대사는 23일(현지시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의 전화통화에서 “북한 공격의 심각성에 비춰볼 때 긴급회의를 소집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동 문제에 관한 비공개 안보리 회의에 참석한 한 외교관은 그랜트 대사가 이 회의에서 안보리 14개 회원국 대표들과 연평도 문제를 어떻게 대처할지 협의 중이라는 말을 했다고 전했다. 다만 그랜트 대사는 긴급회의를 당장 개최할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서는 “오늘(23일) 중에는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유엔 안팎에서는 이번 연평도 사태는 남북 간 국지적 분쟁에 속하기 때문에 ‘지역 분쟁은 당사국 간 우선 해결’ 원칙에 따라 일단 당사자 간의 군사정전위원회 채널 등을 통한 대화 노력이 먼저라는 관측이 많다. 이와 관련, 유엔 주재 한국 대표부의 한 관계자는 “한국 정부가 입장을 명확히 정한 뒤에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면서 “지금으로서는 일정한 절차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한국 정부가 북한에 대해 군사정전위 등의 채널을 통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해결이 나지 않을 경우 안보리 논의로 넘어오는 것이 순서인 셈이어서 빨라야 이번 주말쯤 논의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안보리 결의 1718호와 1874호 등을 통해 이미 북한에 대한 실효적 제재 수단을 모두 동원한 만큼 이번 사안에 대한 안보리 논의에서는 북한의 도발을 비난하고 대북 압박을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 박덕훈 차석 대사는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연평도 사건) 문제는 안보리에서 다룰 사안이 아니라 남북한이 논의할 문제”라며 안보리 논의 자체를 반대했다. 그는 “유엔 안보리는 국제평화와 안보에 위협이 되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면서 “이번 사태는 남북한 간의 지역적 문제”라고 덧붙였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0-11-2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