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48만여그루 감염 전년 대비 65% 증가
신규 및 재발생지역 73% 감염목에 의한 피해

제주의 재선충병 피해지의 고사목. 서울신문 DB
올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이 신규 및 재발생한 30건 중 22건이 인위적 확산으로 확인돼 방제에 비상이 걸렸다.
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이 산림청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2021~2025년)간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현황에 따르면 감염나무가 총 413만 7320그루에 달했다. 2021년 30만 7919그루, 2022년 37만 8079그루에서 2023년 106만 5967그루로 증가한 후 2024년 89만 9017그루로 감소했으나 올해 148만 6338그루로 급증했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186만 5147그루로 전체의 45.1%를 차지했고 경남(89만 8168그루), 울산(35만 4924그루) 등의 순이다.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한 시군구는 2021년 131곳, 2022년 135곳, 2023년 140곳, 2024년 142곳, 2025년 154곳으로 증가 추세이고, 피해 고사목이 5만 그루 이상으로 피해 정도가 심각한 ‘극심’ 지역도 올해 6곳으로 늘었다.
특히 소나무재선충병이 신규 또는 재발생한 30건 중 22건은 인위적 확산으로 조사됐다. 국립산림과학원 분석에 따르면 인위적 확산의 주요 원인은 화목 유입 과정 중 감염나무 유입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소나무재선충병이 재발생한 경북 울진군에서는 땔감에서 매개충의 침입공 및 탈출공이 다수 확인됐다. 신규 발생지역인 전북 무주군 등에서도 화목 및 반입 목재에서 감염나무가 유입돼 확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선교 의원은 “최근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약 4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지만 오히려 피해가 늘고 있다”며 “부주의로 의한 인위적 확산이 발생하지 않도록 특별 단속을 강화하는 등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산림청은 소나무재선충병 인위적 확산 방지를 위해 벌채산물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봄·가을철 집중 단속기간을 운영하고 무단이동 적발 시 방제명령 및 과태료, 사법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산림내·외 훈증 처리목을 화목 등으로 활용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훈증 대신 현장 파쇄를 확대키로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