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마음건강 종합계획 발표
자살·자해학생 급증…전문가 도움 시급
모든 학교 상담교사·전 학년 정서 교육도

서울시교육청 제공
서울에서 자살을 시도하거나 자해를 한 학생 수가 4년 사이 11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은 응급구조단을 1시간 이내 출동시키고 학교에서도 관련 교육을 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10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서울 학생 마음건강 증진 종합 계획’을 발표했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2024년 자살 학생 수는 전년 대비 111%, 2020년 대비 182% 증가했고 자살 시도·자해 학생 수는 전년 대비 113%, 2020년 대비 1066% 증가했다.
정 교육감은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의 마음건강 지표가 악화했고 스트레스·우울·외로움·불안이 높아졌다”며 “전문가 도움이 시급한 학생 비율도 유의미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대책은 ▲모든 학교에 상담교사 혹은 상담사 배치 ▲전 학년 사회정서교육 ▲서울학생통합콜센터·응급지원단 운영 ▲마음치유학교 구축 등이다.
그간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배치됐던 상담교사와 상담사는 초등학교에도 향후 5년간 매년 50명 이상 정원을 확충한다. 기존에는 주로 학교폭력이 잦은 곳에 상담교사를 배치하다 보니 초등학교는 상담교사가 없는 곳이 많았다.
사회정서교육은 2026학년도 전 학년 15차시 이상 확대를 위해 12개 학년별 사회정서교육 자료를 개발해 보급하고, 기본과정 5000명·심화과정 1000명 규모의 교사 연수를 진행해 현장의 역량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학생이 언제 어디서나 한 번호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서울학생통합콜센터도 24시간 운영한다. 위기 신호가 감지되면 ‘48시간 내 첫 개입’을 최소 기준으로 삼아 응급구조단을 1시간 이내 현장 출동시키거나, 관할 교육지원청 위기지원단과 신속 연계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심리·정서 위기 학생에게 치료와 교육을 제공하는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인 ‘마음치유학교’는 내년 9월 완공해 상담·맞춤 학습·의료기관 연계 등을 지원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