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때마다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은 온종일 투표소를 지키며 시민들의 투표를 돕는다.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 9일, 투표소를 지키는 구청 공무원들에 비친 유권자들의 모습이 이색적이었다.
서울 강서구 공항동 공진초등학교 제6투표소에서는 갓난아이를 둔 엄마 15명이 유모차 15대를 줄줄이 끌고 투표소를 찾았다. 현장의 한 공무원은 “아이들이 잘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달라는 바람을 전하고 싶어 젊은 엄마들이 뭉쳤다고 했다”면서 “그 광경이 참 보기 좋았다”고 했다. 양천구 목5동 한신청구아파트 주민 쉼터 제9투표소에서는 비슷한 연령대의 엄마·아빠들이 선거를 맞아 친목 모임을 꾸려 자녀와 함께 투표소를 찾았다. 같은 아파트 11층과 12층에 사는 엄마 아빠 12명으로, 투표 후 인근 음식점에서 이웃 간 정을 나눴다.
지역 특성이 반영된 투표소도 있다. 중구 명동 제1투표소는 수녀 200여 명이 한꺼번에 몰려 주위 시선을 사로잡았다. 현장의 한 공무원은 “제1투표소는 명동성당 안에 마련돼 있어 선거 때마다 수녀 분들의 긴 행렬이 이어진다”고 전했다. 염수정 추기경도 이날 오전 9시 15분쯤 투표했다.
공무원들에게 청량한 웃음과 감동을 선사한 이들도 있다. 영등포구 신길1동 투표소에서는 70대 노인이 투표참관인 12명에게 일일이 수고한다며 격려 인사를 해 현장 분위기를 훈훈하게 했다. 현장의 한 공무원은 “주민이 ‘수고한다’고 말씀해 주실 때 대선 업무에 일조하고 있는 공무원으로서 뿌듯함을 느낀다”고 했다.
성동구 행당2동 한진2차아파트 경로당 제5투표소에서는 한 70대 노인의 유머로 웃음꽃이 만발했다. 현장 공무원은 “어르신께서 신분증만 가져 오셨기에 등재번호 아시냐고 여쭸더니 ‘그건 절대 말 못하지. 비밀이야’라고 하셨다. “투표할 후보 번호를 묻는 줄 알고 그렇게 답하셨다”고 했다.
광진구 자양3동 주민센터 제5투표소에서는 50대 중년 남성이 기표소에 들어갔다 다시 나오며 “여기 싸인 해야 되냐”고 물었고, 30대 중반 여성은 투표용지를 받은 뒤 “너무 긴데 한 명만 찍느냐”고 물어 폭소를 자아냈다.
투표 줄이 길다고 짜증내거나 투표소를 잘못 찾아와 화를 내는 유권자들도 있다. 성북구 돈암2동 투표소의 한 공무원은 “한 남성이 ‘사람이 왜 이렇게 많은 거냐. 이거 당선자 조작하려는 꼼수 아니냐’고 목소리 높이며 항의를 했다”며 “이런 봉변은 안 당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구로구 구로2동 투표소의 한 공무원은 “며칠 전 인천에서 구로구로 이사 왔는데 전입신고를 안 하셔서 인천으로 가셔야 한다고 했더니 화를 냈다”고 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서울 강서구 공항동 공진초등학교 제6투표소에서는 갓난아이를 둔 엄마 15명이 유모차 15대를 줄줄이 끌고 투표소를 찾았다. 현장의 한 공무원은 “아이들이 잘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달라는 바람을 전하고 싶어 젊은 엄마들이 뭉쳤다고 했다”면서 “그 광경이 참 보기 좋았다”고 했다. 양천구 목5동 한신청구아파트 주민 쉼터 제9투표소에서는 비슷한 연령대의 엄마·아빠들이 선거를 맞아 친목 모임을 꾸려 자녀와 함께 투표소를 찾았다. 같은 아파트 11층과 12층에 사는 엄마 아빠 12명으로, 투표 후 인근 음식점에서 이웃 간 정을 나눴다.
지역 특성이 반영된 투표소도 있다. 중구 명동 제1투표소는 수녀 200여 명이 한꺼번에 몰려 주위 시선을 사로잡았다. 현장의 한 공무원은 “제1투표소는 명동성당 안에 마련돼 있어 선거 때마다 수녀 분들의 긴 행렬이 이어진다”고 전했다. 염수정 추기경도 이날 오전 9시 15분쯤 투표했다.
공무원들에게 청량한 웃음과 감동을 선사한 이들도 있다. 영등포구 신길1동 투표소에서는 70대 노인이 투표참관인 12명에게 일일이 수고한다며 격려 인사를 해 현장 분위기를 훈훈하게 했다. 현장의 한 공무원은 “주민이 ‘수고한다’고 말씀해 주실 때 대선 업무에 일조하고 있는 공무원으로서 뿌듯함을 느낀다”고 했다.
성동구 행당2동 한진2차아파트 경로당 제5투표소에서는 한 70대 노인의 유머로 웃음꽃이 만발했다. 현장 공무원은 “어르신께서 신분증만 가져 오셨기에 등재번호 아시냐고 여쭸더니 ‘그건 절대 말 못하지. 비밀이야’라고 하셨다. “투표할 후보 번호를 묻는 줄 알고 그렇게 답하셨다”고 했다.
광진구 자양3동 주민센터 제5투표소에서는 50대 중년 남성이 기표소에 들어갔다 다시 나오며 “여기 싸인 해야 되냐”고 물었고, 30대 중반 여성은 투표용지를 받은 뒤 “너무 긴데 한 명만 찍느냐”고 물어 폭소를 자아냈다.
투표 줄이 길다고 짜증내거나 투표소를 잘못 찾아와 화를 내는 유권자들도 있다. 성북구 돈암2동 투표소의 한 공무원은 “한 남성이 ‘사람이 왜 이렇게 많은 거냐. 이거 당선자 조작하려는 꼼수 아니냐’고 목소리 높이며 항의를 했다”며 “이런 봉변은 안 당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구로구 구로2동 투표소의 한 공무원은 “며칠 전 인천에서 구로구로 이사 왔는데 전입신고를 안 하셔서 인천으로 가셔야 한다고 했더니 화를 냈다”고 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