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에서 직접 물건들 사보니

대형마트에서 직접 물건들 사보니

입력 2011-01-06 00:00
수정 2011-01-06 08: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 과일도 사는 게 어때?” “그렇게 비싼 걸 먹자고? 가정경제 생각도 좀 하시죠.”

4일 저녁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 한 젊은 부부가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과일을 고르고 있었다.

손님들은 평온하게 마트를 둘러보며 장을 보고 있었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가격표 앞에서 무언가를 골똘히 생각하거나 들었던 물건을 도로 내려놓는 손님들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한 할머니는 최근에 값이 오른 백설탕 1㎏짜리를 들고 1천630원이라고 쓰인 가격표를 들여다보더니 “이상하네. 저번에 왔을 땐 더 쌌던 것 같은데…”라며 고개를 갸웃거렸다.

평일 저녁인 터라 점포 안 매장은 대부분 한산했지만, 직원들이 특가에 판매 중임을 알리는 삼겹살 매장만큼은 손님들이 몰려 북적거렸다.

이날 저녁 된장찌개와 고등어조림 요리를 위해 두부 한 모와 애호박 한 개, 고등어 한 마리, 양파 한 망을 고르고 후식용으로 제철 과일인 딸기와 우유 한 팩씩도 카트에 담았다.

마침 부엌에 떨어진 식재료들을 채워넣으려 계란과 설탕, 고추장 제품도 하나씩 집어들고 다음날 저녁으로 먹을 돼지 삼겹살 400g과 상추 한 봉지도 챙겨넣었다.

이렇게 두 끼 식사 준비와 식재료 구비를 위한 비용은 총 4만1천280원.

작년 이맘때 같은 11개 품목(일부 상품에 중량 변동)으로 장을 봤다면 3만5천790원이 들었을 것이다.

1년 새 15.3%가 오른 것이다.

이 가운데 가격이 떨어진 것은 삼겹살과 우유 두 가지 품목뿐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올랐다.

먼저 대기업 브랜드를 내건 포장제품들의 오름폭이 만만치 않았다.

1모에 1천450원 하는 포장두부 제품은 작년 이맘때 1천280원이었을 때보다 오히려 양은 340g에서 320g으로 20g 줄어들었다.

계란(10개입)도 2천400원에서 2천840원으로 올랐다.

고추장과 설탕 역시 1㎏짜리 제품이 각각 7천890원에서 9천550원으로, 1천380원에서 1천630원으로 올랐다.

신선식품 가격 역시 훌쩍 올랐다.

적상추는 1봉지에 880원에서 1천780원으로, 양파는 1망에 2천450원에서 3천80원으로 올랐다.

고등어는 작년에 큰 상품이 거의 잡히지 않아 330g 안팎 1마리당 1천980원에 팔렸다는 게 마트 측 설명인데, 올해는 작년보다 큰 대(大)자 상품이 1마리당 3천980원에 팔리고 있었다.

이 대형마트 측은 “신선식품은 올겨울 한파와 남부지방 폭설로 가격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부터 설탕 가격이 오른데다 밀가루 값도 이달 중 오를 것으로 점쳐지고 있어 ‘밥상물가’는 더욱 불안한 상황이다.

주부 이모(61) 씨는 “장을 보다 보면 조금씩이라도 값이 안 오른 식품이 거의 없다”며 “별 생각 없이 이것저것 골라 담아 계산대에 가 보면 깜짝 놀랄 때가 많다”고 말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