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 시장 2025년 2분기 동향, 3분기 전망. 건설정책연구원 제공
올해 2분기에 이어 3분기 역시 건설경기 부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이 1일 발표한 ‘지표로 보는 건설시장과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올 2분기 건설경기를 보여주는 선행지표인 건설 수주가 올 초부터 5월까지 2.9% 줄어들었다. 건축허가 및 착공 면적은 5월까지 각각 19.8%, 20.7% 감소했다.
특히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이 5월까지 21.1% 줄었는데, 이는 IMF 당시였던 1998년 3분기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기성은 진행 중인 공사 실적을 보여주는 지표로, 건설기업의 재무 악화는 물론 고용 감소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건정연은 3분기 전망에 대해 “정부의 적극적인 부양책으로 건설지표 반등이 기대되지만, 그간 누적된 선행지표 감소세를 감안하면 건설경기 부진이 연말까지 이어질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건정연은 전문건설업 계약액에 대해 올 2분기가 전년 대비 감소 추세이며, 상대적으로 원도급공사 부진이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2분기 주택시장은 서울과 일부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지방은 내림세가 계속되면서 양극화 구도가 심화하는 추세를 보인다. 올해 4월 기준, 전국 미분양주택은 6만 7793호로 절대 물량 기준으로는 여전히 높지만, 전체 미분양의 76.5%가 지방에 집중됐다.
박선구 건설시장 부문 실장은 “상반기 건설경기는 IMF 이후 최악의 상황으로, 모든 건설지표가 급감하고 있다”면서 “새로운 건설수요 활로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