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잠 못 드는 밤/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잠 못 드는 밤/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1-06-07 00:00
수정 2011-06-0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숲은 어둡고 깊고 아름답다. 그러나 나는 지켜야 할 약속이 있다. 자기 전에 몇십 리를 더 가야 한다….” 미국의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가 쓴 시 ‘눈 내리는 밤 숲가에 서서’의 한 대목이다. 어둠은 문인들에게 새로운 영감을 주며 밤을 찬미하게 했다. 어디 시인뿐인가. 쇼팽은 ‘야상곡’(夜想曲·Nocturnes)에서 조용한 밤의 서정적인 분위기를 아름다운 선율로 그려냈다.

푸치니의 오페라 ‘투란도트’의 유명한 아리아 ‘공주는 잠못 이루고’ 는 중국 공주 투란도트와 그녀를 얻고자 하는 칼리프 간의 기싸움이 벌어지는 흥미진진한 밤을 노래하고 있다. 영화 ‘시애틀의 잠못 이루는 밤’에서는 사랑에 빠진 이들이 밤에 고민하고 괴로워하는 모습들이 로맨틱하게 그려졌다. 이렇듯 잠 못 이루는 밤은 일반인들에게는 고통스러운 일이지만 예술가들에게는 문학과 음악, 영화 등 장르를 불문하고 중요한 테마가 된다.

예술가들은 쉬이 찾아오지 않는 잠을 청하기보다 오히려 창작의 세계를 택했는지도 모른다. 성공한 사람들 가운데 의외로 불면증에 시달린 이들이 적지 않다. 나폴레옹, 처칠, 대처 같은 정치인과 버지니아 울프, 마크 트웨인 등 문인들도 올빼미 생활을 했다고 한다. 다소 과장한다면 그들이 남긴 작품과 업적들이 다 불면증의 소산이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영국의 처칠 총리는 두 개의 침대를 갖고 다니며 한 곳에서 잠들지 못하면 다른 하나로 옮겨가 잠을 청했을 정도다.

미국 정치인 벤저민 프랭클린은 침대가 너무 더우면 잘 수 없어 침대가 서늘해질 때까지 창문을 열어 놓았다고 한다. 영국 소설가 찰스 디킨스는 침대가 남북으로 놓여야 겨우 잘 수 있었다. 옛 소련의 독재자 스탈린은 어디에서든 침실은 벽지까지 똑 같아야 했다. 수면 시간 부족으로 피곤에 찌든 현대의 샐러리맨들에게는 믿거나 말거나 한 일화들이다.

최근 숙면을 취하기 힘들어 병원을 찾는 수면장애 환자가 지난 5년 새 두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원인으로는 스트레스와 비만, 노령인구의 증가 등이 꼽힌다. 잠을 자고 싶어도 못 잔다면 그것보다 괴로운 일은 없다. 그러기에 수면장애 환자들은 잠자기 위한 ‘잠과의 전쟁’을 벌인다고 한다. 그들에겐 마음을 편안하게 내려놓는 것이 필요할 듯하다. 우리 앞에 역사의 교훈이 있지 않은가. 수많은 이들이 불면증으로 고통 받았지만 자신들의 열정과 능력만은 잠재우지 않고 인생의 불꽃을 태웠다는 사실을….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1-06-0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