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수가제 논란은 결국 돈 문제다. 환자의 진료비 상한선을 정부가 미리 정해서 통제하겠다는 것이다. 과잉 진료를 막고 환자들의 부담을 줄이겠다는 취지다.
이미지 확대
이영준 사회부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영준 사회부 기자
의료계의 반발은 당연하다. 서울 ‘빅 5’ 병원의 한 전문의는 지난주 관련 보도 후 ‘총비용이 정해져 있어 좋은 재료가 아닌 기존의 저렴한 치료제나 봉합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항의 메일을 보내 오기도 했다. 손해보는 장사는 못 하겠다는 얘기다.
그러나 이런 주장에는 ‘저렴한 치료제·봉합제=질 낮은 의료’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 “그동안 의사들은 같은 상황이라면 가급적 비싼 재료를 써 왔다.”는 의미로도 읽힌다. 진료비 거품을 의사 스스로 인정하는 셈이다.
수술 부위를 꿰매는 봉합사(絲)를 예로 들어보자. 한 봉지당 200원에서 1만 4000원까지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물론 값이 비싼 데는 다 이유가 있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그렇다고 싼 제품이 곧 ‘못 쓸 제품’은 아니라는 점이다. 의료계 관계자들도 “가격 차는 체내에서 녹는지 여부와, 실 끝에 바늘이 달려 있느냐, 없느냐 차이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현재 병원에서 이뤄지는 제왕절개 수술의 40%는 200원짜리 봉합사를 쓰고 있다.
포괄수가제를 두고 똑 부러지게 시비를 가르기는 어렵다. 정부도 이 같은 이유로 정해진 수가에서 10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보전해 주겠다고 했다. 문제는 정부의 정책을 꼼꼼히 들여다보지도 않고 ‘과잉 진료가 최선’이라고 말하는 의사들이 없지 않다는 데 있다. 국민들 뇌리에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집단이기주의’로 각인되는 현실은 의사 스스로의 탓이라는 지적을 되새겨 볼 때다.
정답은 환자다. 고통받는 환자를 앞에 두고 “가격이 안 맞아 치료 못 하겠다.”는 의사가 있을까. 없다고 본다. 의사들이 의료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는 자체는 의사의 본분을 망각, 환자들을 소홀하게 대하는 행위다. 의사들의 사소한 횡포도 환자들에게는 큰 피해로 다가오는 것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의사는 환자를 결코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주문하는 것 아니겠는가.
apple@seoul.co.kr
2012-06-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