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서울 금호초등학교 1963년 입학식이다. 지금은 50대 후반에 든 1956년생들이 학교에 들어갈 때의 모습이다. 운동장이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아이들로 들어찼다. 사람들은 서울로 몰려들어 서울의 인구는 1960년대 들어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했다. 전후 베이비붐으로 집집의 아이들이 대여섯씩은 되었다. 서울의 학교는 교실 부족으로 쩔쩔매었다. 어쩔 수 없이 3부제, 심지어 4부제 수업을 하며 한 교실을 몇 개 학급이 같이 써야 했다. 1960년에 서울 시내 초등학교의 교실은 1100여 개나 부족해 부제 수업을 하고도 한 반 학생이 보통 80명, 심할 때는 100명이 넘는 콩나물시루 같은 교실에서 학생들은 공부해야 했다. 지방에서도 사정이 다르지 않았다. 어느 지방에서는 교실이 모자라 교실을 절반으로 쪼개 썼다. 어린 학생들이 거의 몸을 맞대고 공부를 했다. 정부에서는 학교도 계속 짓고 교실도 늘렸지만, 취학 아동의 증가 속도가 더 빨라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없었다. 1972년의 실태를 보자. 전체 학생 수가 1만 명이 넘는 초등학교가 3개나 되었고 학생 수가 100명이 넘는 학급이 120개나 있었다. 2부제 수업을 하는 학교가 1386개교, 3부제 수업을 하는 학교도 9개교가 남아 있었다. 학생 수가 가장 많았던 하월곡동 숭인초등학교는 학급 수가 145개나 되었는데, 신입생이 25개 학급에 1961명이나 입학해 ‘운동장 수업’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3-0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