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때 지어진 영단주택이 지금도 서울 문래동과 인천 용현동 등에 남아 있다. 영단주택 외에도 공영주택들은 자금의 출처나 주택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었다. 재건주택, 부흥주택, 시영주택, 난민주택, 도시 A형 등이다. 이런 주택들은 도심보다는 변두리 지역에 많이 지어졌다.
예산 부족으로 외자를 도입해서 공영주택을 건설한 사례가 있다. 미국이 개발도상국에 제공하는 AID(Ac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차관으로 지은 AID 아파트도 그중의 하나다. 1972년부터 1981년 사이에 서울 영동·구반포·도화동, 부산 해운대 등 여러 곳에 이 아파트가 건설되었다. 미국 국제협조처인 ICA(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의 자금을 지원받아 원하는 사람들에게 융자해주어 지은 주택(ICA 주택)도 외자로 지은 주택의 하나다. 화장실도 집 안으로 들이고 부엌도 입식으로 바꾼, 당시로서는 현대식 주택이었다. 사진은 서울 불광동에 지어진 ICA 주택으로 불광동 개발의 시발이 되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4-1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