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울면 안 돼/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문화마당] 울면 안 돼/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입력 2014-01-02 00:00
수정 2014-01-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지난 연말에 들은 한 크리스마스 캐럴 가사가 아직도 뇌리에 맴돈다. 누구나 귀에 익은 ‘울면 안 돼’라는 곡인데, 예전엔 느끼지 못하던 면을 이번에 새롭게 느꼈다. 아니, 그 가사가 문득 나를 엄습했다.

가사의 내용을 풀면 다음과 같다. 누가 착한 애이고 누가 나쁜 애인지 분명히 알고 있는 산타 할아버지가 오늘 밤 동네를 방문하는데, 좋은 애에게는 선물을 주고 나쁜 애에게는 주지 않는다. 나쁜 애는 짜증을 부리거나 우는 아이다. 그러니 좋은 애는 짜증도 안 부리고 울지도 않는 아이다. 따라서 산타 할아버지로부터 선물을 받으려면 나쁜 행동을 버리고 좋은 애가 돼야 한다.

원곡인 영어 가사에는 아이를 분류하는 기준이 하나 더 나온다. 말을 안 들으면(naughty) 나쁜 애, 잘 들으면(nice) 좋은 아이다.

그뿐 아니다. 산타 할아버지는 동네 모든 아이들을 좋은 애와 나쁜 애로 분류한 명단을 갖고 있으며, 혹시 어떤 실수가 있을까봐 그것을 한 번 더 확인한다. 그리고 아이들이 잠이 든 사이에 몰래 방문해 좋은 애에게만 선물을 주고 떠난다. 그러니 선물을 받고 싶으면 어른들 말씀을 잘 듣는 착한(good) 아이가 돼야 한다.

연말에 이런 가사의 노래를 들으며 양차 세계대전 사이에 자본주의의 산물로 탄생한 산타클로스의 정체가 떠올라 기분이 썩 좋지 않았다. 하루에도 보통 몇 번씩 울어야 하는 어린 아이에게 선물을 들이밀며 자연적인 울음조차 스스로 알아서 참게 만드는 어떤 괴력이 그 가사에 녹아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이런 가사로 인해 웬만큼 사는 거의 모든 부모는 연말에 아이 선물을 사기 위해 지갑을 열 수밖에 없다. 억지로라도 선물을 준비해서 밤에 아이의 머리맡에 두지 않으면, 이 노래를 유치원에서 목이 터져라 부르고 온 자기 아이는 영락없이 나쁜 애가 되기 때문이다.

이런 노래는 그동안 가난한 부모의 마음을 얼마나 후벼 팠을까. 억지로 무리해서 조그만 선물을 할지라도 다른 아이의 선물과 비교해 너무 작다면 그것은 내 아이가 덜 착하기 때문인가.

고아원에서 추운 겨울을 맞는, 그래서 이렇다 할 선물도 제대로 받기 힘든 아이들은 전형적인 나쁜 애인가. 참으로 어이없는 산타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천진난만한 어린 아이들을 상대로 물질적 선물을 미끼로 장난치는 것 같아 기분이 언짢다.

울 만한 일이 있을 때나 그냥 울고 싶을 때는 울도록 해야 한다. 문득 엄마의 품이 그리워 울음이 터질 때도 울지 말고 보모 말씀에 무조건 순응해야 정말 좋은 아이일까. 어떤 일로 인해 자기도 모르게 울음이 복받칠 때 참지 못하면 정녕 나쁜 애일까.

갑오년 새해가 밝았다. 현재 한국사회에는 갖가지 이유로 울고 싶은 이들이 무척 많다. 사회의 구조적 굴레로 인해 울음이 치미는 사람도 많다. 바로 지난 연말에도 그런 일들이 줄을 이었다. 그런데 이 사회는 지금 그들 더러 울음을 뚝 그치고 말 잘 듣는 ‘착한’ 아이가 되라고 한다. 말을 안 들으면 엄벌에 처하겠다고 으름장까지 놓는다. 울 만한 일에 실컷 울게 허용하는 사회가 따뜻한 사회요, 더불어 사는 좋은 사회 아닐까. 2014 갑오년이 그런 해였으면 좋겠다.
2014-01-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