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불길 속에서 살신성인 실천한 의인 안치범씨

[사설] 불길 속에서 살신성인 실천한 의인 안치범씨

입력 2016-09-21 22:50
수정 2016-09-21 23: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 젊은이의 의로운 죽음이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 서울 마포에 사는 안치범(28)씨는 최근 자신이 사는 원룸 건물에서 불이 나자 잠자는 이웃 주민을 일일이 다 깨워 목숨을 구하고 정작 자신은 유독 가스에 질식돼 끝내 하늘나라로 갔다. 자신을 보호할 어떤 장비도 갖추지 않은 채 어떻게 그 뜨거운 불길 속에 뛰어들 생각을 했는지 그의 살신성인(殺身成仁)에 경의를 표하게 된다.

그의 죽음을 접하고 가슴 한쪽이 시리면서도 따뜻해짐을 느낀다는 이들이 많은 것은 아무도 흉내 내지 못할 의로운 행동 때문이다. 그는 누구보다 먼저 화재 현장에서 탈출했다. 119 신고로 할 일 다했다고 해도 뭐라 할 이가 없지만 그는 다시 연기가 가득 찬 건물로 뛰어들어가 방마다 초인종을 눌러 이웃들을 대피시켰다고 한다. 그 덕분에 단 한 명의 사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그의 희생과 헌신이 없었다면 끔찍한 참사로 이어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한 젊은이의 용기 있는 행동을 보면서 이 세상을 바꾸는 이들은 정치인이나 기업인이 아니라 우리 사회 곳곳에서 말없이 자기 몫을 다하는 평범한 이웃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요란하게 사회 정의를 외치고, 다 함께 잘사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다짐하는 이들은 오히려 온갖 비리와 ‘갑질’로 국민을 멍들게 했다. 하지만 아직 취직도 못하고 성우의 꿈을 키웠던 한 청년은 곤경에 처한 이웃을 결코 외면하지 않았다. 높은 지위와 부를 누리면서 사회적 책무는 저버리는 사회지도층들이 득실대는 우리 사회에 울린 경종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요즘이 어떤 세상인가. 길 가다가 아무런 이유 없이 살인까지 저지르는 무서운 세상이다. 나만의 행복과 성공을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는 냉혹한 세상이다. 타인에 대한 배려와 사회공동체에 대한 가치가 무너진 지 오래다. 그렇기에 안씨 같은 의인(義人)이 있어 우리 사회는 아직 살아갈 만하다는 희망을 갖게 된다.

고위 공직자 출신인 안씨의 아버지는 “처음에는 불길 속에 뛰어든 아들이 원망스러웠지만 지금은 ‘잘했다’고 말해주고 싶다”고 했다. 자식을 잃은 부모의 피 끓는 심정을 생각한다면 흔치 않은 반응이다. 이제 사회가 답할 차례다. 그의 죽음을 헛되게 하지 하지 않고, 나아가 유가족에게 “자식을 잘 키웠다”고 감사와 애도의 마음을 전하려면 안씨를 ‘의사자’로 예우해줘야 한다.
2016-09-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