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행연거’(杏然去)/임태순 논설위원

[길섶에서] ‘행연거’(杏然去)/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1-09-20 00:00
수정 2011-09-20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화유수묘연거’(桃花流水杳然去). 당나라 시인 이태백의 유명한 시 ‘산중문답’(山中問答)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복숭아꽃이 흐르는 물에 아득히 흘러가는구나.’라는 뜻이다.

제법 글을 읽는다는 서울양반이 낙향해 동네를 기웃거리다 서당을 지나게 됐다. 때마침 시골훈장이 가르치던 대목이 산중문답. 글 짧은 훈장은 ‘도화유수묘연거’를 ‘도화유수행연거’로 써놓고 천연덕스럽게 읽고 있었다. 아득할 ‘묘’(杳)자가 살구나무 ‘행’(杏)으로 바뀌어 있었던 것. ‘묘’자의 날 일(日)자 변에서 한 ‘일’(一)자를 뺀 것이 ‘행’자니 착각할 만도 하다. 호기심이 동한 서울양반은 시골훈장이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 유심히 지켜봤다. 그런데 시골훈장은 태연히 ‘복숭아꽃이 살구머니 흘러가는구나.’라고 학동들에게 설명했다. 아득히 흘러가나, 살구머니 흘러가나 전혀 뜻이 통하지 않는 것이 아니어서 속으로 머쓱하고 말았다. 어느 책에서 읽은 일화다. 시골훈장의 재치에 절로 미소가 입가에 돈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1-09-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