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까치 마음/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까치 마음/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6-04-15 18:02
수정 2016-04-15 18: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속도의 시절이다. 허름한 담벼락에라도 첫 꽃을 터뜨렸으면 주인공, 간발의 차로 쏟아지게 피어 봤자 들러리. 매정한 사정을 봄꽃들이 알고 있으니 죄다 속도전이다. 어제 피었나 싶더니 힘없는 봄바람이 시비만 걸어도 오늘은 제 풀에 항복, 무더기 낙하. 목련, 벚꽃, 안 그런 꽃이 없다. 심지 없는 봄꽃들.

봄 흥(興)과 봄 근심 사이를 헤맸다는 옛 시인들 마음을 알겠다. 팥죽 끓는 마음은 계절 탓이다. 짧아 감질나는 봄꽃의 생애 탓, 초목들 태깔에 변화무쌍하라 부추기는 봄볕 탓이다.

집 앞마당은 까치들 차지다. 뭘 기다리는지 온종일 뱅뱅거린다. 은행나무, 메타세쿼이아 꼭대기에 옴팍하게 들앉은 까치집의 주인장들. 요란하게 꽃 터지는 나무에는 아예 둥지 틀지 않는 뚝심의 주인공들. 엄동에도 마당을 떠난 적 없는 텃새한테 꽃나무는 일없다. 제비가 강남을 다녀왔든 말든 남의 일이다. 짙어질 잎만 기다린다. 둥지 품어 줄 무성한 잎. 제자리 지키는 침묵으로도 득의의 삶이다.

일상을 지키는 일이 버거워 온탕냉탕 조울증, 봄바람에 팔랑귀. 내 마음, 까치 마음을 몇 번이나 저울에 올려 보는 봄날.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6-04-1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