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그래도 올림픽/문소영 논설실장

[길섶에서] 그래도 올림픽/문소영 논설실장

문소영 기자
입력 2021-07-27 20:22
수정 2021-07-28 01: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팬데믹 시절에 위험하게 무슨 올림픽이냐,며 까칠하게 생각해 2020 도쿄올림픽 중계방송을 보지 않았다. 도쿄올림픽 개최 불가에 동조할 때도 있었다. 그러나, 4년+1년 땀 흘리고 기량을 닦은 선수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짠해져 갈팡질팡했다. 그래도 올림픽에 냉담했다. 여자양궁 국가대표들이 33년간 올림픽 정상을 지켰다는 소식도 보도로 봤다. 24시간 뉴스방송에서 간간이 올림픽 관련 보도가 나온 덕분이다.

그런데, 인연은 따로 있는 것인가. 그제 사무실 다른 TV에서 남자양궁 단체전이 중계방송 중일 때 우연히 그 앞을 지나다가 금메달을 결정한 마지막 두 발을 봤다. 김제덕 선수와 오진혁 선수순으로 10점 만점을 쏘았다. 30초 만에 남자양궁 단체전 올림픽 2연패를 직관한 것이다. 짜릿한 기쁨 이후 주섬주섬 올림픽 뉴스를 찾아봤다. 자이니치, 즉 재일교포로 일본의 귀화 요청에도 태극마크를 단 유도선수 안창림이 3, 4위 결정전에서 어렵게 동메달을 획득한 뒤 “교포 어린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싶다”고 말했더라. 도쿄 올림픽이 아니면 내가 어찌 안창림을 알았겠나. 올림픽을 해 다행이다. 지구촌의 평화와 협력을 위해 복원됐다는 올림픽! 그 정신이 확산되고 각국 선수들이 즐기는 올림픽이 되길!

2021-07-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