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소련은 1983년 9월 1일 발생한 소련군의 KAL기 격추 사건과 관련해 당시 서로 상반된 주장을 내놨다.
사건 여드레 뒤인 9일 니콜라이 오가르코프 소련군 참모총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KAL기 격추 사건의 불가피성을 주장하자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전국 방송연설에서 이를 반박했다. 냉전시기 미·소의 상반된 주장을 쟁점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KAL기·미 정찰기 랑데부
소련 측은 KAL기가 미 정찰기(RC135) 한 대와 랑데부, 10분간 함께 비행했으며 고의적으로 자국 영공을 침범했고 소련 요격기를 무시한 채 달아나려고 했다고 주장했다.
미국 측은 KAL기가 통상 임무를 행하던 미 정찰기 한 대와 근접 거리에서 ‘잠깐 동안’만 비행하다가 곧 떨어졌으며, 미 정찰기가 소련 영공에 들어간 적은 없었다고 반박했다.
●경고 발사
소련 측은 자국 요격기가 KAL기와 접촉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경고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소련 조종사들이 무선을 통해 KAL기와 접촉을 시도한 뒤 120차례나 경고 발사를 가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미국 측은 조종사들이 위급한 상황에 직면할 경우 다른 나라 비행기들과 교신이 가능한 ‘국제무선파장’이라는 보호수단이 있다며, 소련 전투기들은 조종사의 망명을 우려해 이 같은 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소련 조종사와 지상관제소 간의 대화기록으로 봐서 KAL기에 운항등이 켜져 있었으며 KAL기에 아무런 경고도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육안 식별
소련 측은 어둠 탓에 KAL기의 모습을 식별하기가 어려웠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미국 측은 사고 당시 밤 날씨는 쾌청했으며 하현달이 비치고 있었기 때문에 소련 조종사가 KAL기에 근접해 충분히 식별이 가능했다고 지적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사건 여드레 뒤인 9일 니콜라이 오가르코프 소련군 참모총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KAL기 격추 사건의 불가피성을 주장하자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전국 방송연설에서 이를 반박했다. 냉전시기 미·소의 상반된 주장을 쟁점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KAL기·미 정찰기 랑데부
소련 측은 KAL기가 미 정찰기(RC135) 한 대와 랑데부, 10분간 함께 비행했으며 고의적으로 자국 영공을 침범했고 소련 요격기를 무시한 채 달아나려고 했다고 주장했다.
미국 측은 KAL기가 통상 임무를 행하던 미 정찰기 한 대와 근접 거리에서 ‘잠깐 동안’만 비행하다가 곧 떨어졌으며, 미 정찰기가 소련 영공에 들어간 적은 없었다고 반박했다.
●경고 발사
소련 측은 자국 요격기가 KAL기와 접촉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경고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소련 조종사들이 무선을 통해 KAL기와 접촉을 시도한 뒤 120차례나 경고 발사를 가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미국 측은 조종사들이 위급한 상황에 직면할 경우 다른 나라 비행기들과 교신이 가능한 ‘국제무선파장’이라는 보호수단이 있다며, 소련 전투기들은 조종사의 망명을 우려해 이 같은 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소련 조종사와 지상관제소 간의 대화기록으로 봐서 KAL기에 운항등이 켜져 있었으며 KAL기에 아무런 경고도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육안 식별
소련 측은 어둠 탓에 KAL기의 모습을 식별하기가 어려웠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미국 측은 사고 당시 밤 날씨는 쾌청했으며 하현달이 비치고 있었기 때문에 소련 조종사가 KAL기에 근접해 충분히 식별이 가능했다고 지적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5-12-2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