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골 나온 부여 응평리 백제 무덤 주인은 지방관료”

“인골 나온 부여 응평리 백제 무덤 주인은 지방관료”

김정화 기자
입력 2022-01-21 10:54
수정 2022-01-21 1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여 응평리 석실묘 긴급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제공
부여 응평리 석실묘 긴급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제공
지난해 경지 정리 과정에서 발견된 충남 부여 응평리 백제 횡혈식 석실묘(橫穴式石室墓·굴식 돌방무덤)에 묻힌 인물은 지방관료나 수장층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21일 공개한 부여 초촌면 응평리 석실묘 긴급 발굴조사 보고서에서 “석실묘 위계는 최상위는 아니지만 중위에서도 비교적 높은 단계”라며 이같이 밝혔다. 응평리 석실묘는 백제 사비도읍기(538∼660)에 도읍을 보호하기 위해 쌓은 성곽인 나성(羅城)에서 동쪽으로 7.3㎞ 떨어진 곳에 있다.

도굴 흔적이 확인되지 않은 무덤 내부에서는 두개골을 비롯한 인골과 금동제 귀걸이, 목관 재료 등이 출토됐다. 무덤방 크기는 길이 220㎝, 너비 110㎝, 높이 115㎝로 조사됐다. 조사단은 두 명에 해당하는 인골과 목관 두 기가 나왔고,묘도(무덤 입구에서 시신을 두는 방에 이르는 길) 흙을 두 차례 파낸 흔적이 있어 시신을 매장한 뒤 추가로 시신을 넣은 것으로 분석했다.
부여 응평리 석실묘 전경. 문화재청 제공
부여 응평리 석실묘 전경. 문화재청 제공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석실묘 근처에서 더 많은 고분이 확인된다면 특정 씨족 묘역일 가능성이 있다”며 “단독으로 축조된 경우라면 관리가 부임지에서 매장됐거나 출신지에 무덤을 마련한 ‘귀장’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동쪽 목관과 서쪽 목관은 부속 도구 형식과 목재 두께에서 차이가 난다”며 “서쪽에 매장된 사람은 금동제 귀걸이를 착용하고 있어 동쪽 사람보다 위계가 높았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매장 시기와 관련해선 무덤의 구조적 특징과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6세기 말에 1차로 사람을 묻은 뒤 7세기 초에 추가로 장례를 했다고 봤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