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고]

[부고]

입력 2010-04-08 00:00
수정 2010-04-08 0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신기(전 서울신문 독자서비스국 발송부 과장)씨 부친상 7일 부천 가톨릭성모병원, 발인 9일 오전 9시 (032)340-7308

●이강수(전 한국은행 부총재)씨 부인상 원재(한국투자증권 국제본부장)석재(리트러스트 대표)씨 모친상 이윤정(연세대 강사)씨 시모상 7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9일 오전 8시 (02)2227-7569

●궁석빈(전 한국은행 전주지점장)씨 별세 한경(삼성SDS 마스터)윤경(아날로그 대표)대경(워너브라더스 전무)숙경 미경(제일병원 산부인과 의사)씨 부친상 한동헌(전 이수화학 상무)강인수(제일병원 산부인과 의사)씨 장인상 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9일 오전 8시 (02)3410-6902

●김용해(포항시청)용구(현대엠코 이사)용익(현대자동차 송파지점장)씨 모친상 최상호(자영업)최장열(포스코)씨 장모상 5일 경북 포항성모병원, 발인 8일 오전 7시30분 (054)289-4475

●이해문(재단법인 고촌재단 국장)씨 부인상 7일 을지병원, 발인 9일 오전 10시 (02)970-8444

●소순명(골프팁스코리아 편집국장)홍문(삼전종합사회복지관 부장)균정씨 부친상 김윤형(원디자인 대표)씨 장인상 7일 전북 남원의료원, 발인 9일 오전 8시 (063)620-1140

●김관수(대원관리 회장)씨 부인상 상두(써니텍스타일 대표)태형(〃 이사)씨 모친상 김재천(대원관리 대표)씨 장모상 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9일 오전 11시 (02)3010-2231

●최호범(삼우크리에이티브 대표)씨 모친상 7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9일 오전 11시50분 (02)2227-7572

●백태현(전 한국교회음악협회장·전 음대 교수)씨 별세 차복희(시인)씨 남편상 백승암(안성기공 대표)씨 부친상 이호신(서울이비인후과 원장)전용우(KBS교향악단 악장·바이올리니스트)현진우(바이텍테크놀로지 대표)씨 장인상 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9일 오전 7시30분 (02)3410-6915

●한광호(전 용산구의회 의장)씨 별세 최상옥(동아용역 전무)씨 장인상 7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9일 오전 10시 (02)2227-7597

●장경덕(매일경제 논설위원)김일용(동원수산)전찬희(로고웨어 대표)씨 장모상 7일 일산 백병원, 발인 9일 오전 8시 (031)910-7444

●안동옥(transpac 상무)동수(현대증권 차장)동길(칸서스자산운용 부장)동규(은강실업 과장)씨 부친상 조혜진(미래에셋 퇴직연금연구소 과장)박영민(유비스티 과장)씨 시부상 7일 이대목동병원, 발인 9일 오전 5시 (02)2650-2741

●신현기(한국감정원 상근감사위원)씨 모친상 7일 부산의료원, 발인 9일 오전 8시 (051)607-2659

●김시회(말레이시아 인터캐피탈 대표·옥타말레이시아 부회장)진성(성보고 교사)씨 부친상 김상희(전주지업사 대표)유경종(바롬웍스 〃)씨 장인상 7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9일 오전 7시30분 (02)3010-2261

●서길호(전 국민은행 총무부장)태훈(외환은행 신탁연금부 팀장)씨 모친상 7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0일 오전 7시 (02)3410-3151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명전(삼정KPMG 부회장)씨 부친상 7일 조선대부속병원, 발인 10일 오전 9시 (062)220-3352
2010-04-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