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지난달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케이푸드 홍보관’ 개관식.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공
aT는 중국 공략을 위한 기반시설 및 자금 지원을 늘린다. 우선 칭다오 물류센터와 연계해 수입 상품을 위한 냉동·냉장 물류 시스템을 운영한다. 또 중국 내륙시장에 진출하는 수출 품목 중 일부에 대해 물류비를 지원한다.
선진국에서는 안전·위생기준에 대한 자문과 컨설팅 서비스를 확대한다. 현지 법률·통관·위생 관련 전문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성해 해외 바이어의 한국 식품 수입과 관련한 애로 사항도 적극적으로 해결할 방침이다. aT 관계자는 “미국과 일본, 프랑스 등 8개국의 33개 전문기관과 네트워크가 구성돼 있다”고 말했다. 해외 바이어를 위해 현지 식품 연구기관과 손잡고 한국 식품에 대한 성분과 효능 분석 비용 등도 지원하기로 했다. 개도국에서는 해외 ‘수입자 대출제도’를 활용해 수입 바이어들에게 저리로 자금을 빌려준다. 국내 유망 상품을 발굴하고 현지 판매를 지원하기 위한 ‘케이푸드 박람회’를 개최하고 바이어들을 위한 공동 부스도 운영하기로 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6-07-18 5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