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북 12월호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2016년 탄핵 때도 ‘하방위험 확대 우려’
비상계엄 사태 전부터 내수 회복세 미약

지난 12일 오전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담화를 TV로 보고 있다. 2024.12.12.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정부가 내놓은 첫 경기 진단에서 “하방 위험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한 달 전보다 한층 더 어두워진 전망으로 정부의 대외신인도 하락 방어 총력전에도 경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13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안정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가계·기업 경제심리 위축 등 하방 위험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비상계엄’, ‘탄핵 정국’ 같은 직접적인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가 연말 소비와 투자 심리를 짓누를 수 있다고 판단했다. 지난달까지 사용한 ‘완만한 경기회복세’ 언급은 빠졌다.
기재부 관계자는 “과거 유사한 사례가 있던 2016년 당시 그린북을 참고했다”면서 “고심 끝에 현재의 경제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단어를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경제심리 위축 등 하방 위험 증대 우려가 있다’ 등 이렇게 두 가지로 판단해 종합평가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의결된 2016년 12월 그린북에는 ‘국내적 요인에 의한 소비·투자심리 위축 등 하방 위험 확대 우려’라는 단어가 포함됐다. 탄핵이란 단어가 정치적 단어이기 때문에 불확실성이란 표현으로 대체했다는 게 기재부 설명이다.
다만 비상계엄 사태가 가져올 경제적 충격은 현재로서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어떻게 정리될지 예측할 수 없어 시차를 두고 정확한 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고 부연했다.
비상계엄 사태 전부터 내수 회복세는 미약한 모습이다. 상품 소비를 나타내는 10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4% 감소했다. 11월 소매판매도 마이너스가 이어질 전망인데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량(-1.7%)과 백화점 매출액(-5.5%)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 탓이다.
수출만 견조한 흐름인데 11월 수출이 전년보다 1.4% 증가했다. 14개월 연속 ‘플러스’다. 다만 증가율이 전월(4.6%)보다 둔화했다.
글로벌 경제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지정학적 리스크가 여전한 가운데 통상 환경 변화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컨테이너 가득 찬 부산항
부산 남구 신선대(사진 아래) 및 감만(위)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뉴시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