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백윤
허백윤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허백윤 기자입니다.
기획·연재
  • 외안대전
주간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한미, 비자 개선 논의… B1 탄력 운용·전문직 쿼터 확대 협의

    한미, 비자 개선 논의… B1 탄력 운용·전문직 쿼터 확대 협의

    한미 양국이 한국 전문 인력의 미국 입국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비자를 신속하게 만드는 방안을 협의하기로 했다. 현재 기업들이 많이 활용하고 있는 단기상용(B1) 비자의 탄력적 운용, 한국인 전문 인력의 단기 출장을 위한 비자 신설, 전문 직종 외국인을 위한 H-1B 비자에서 한국인 쿼터(
  • 李정부 첫 주유엔대사로 ‘李동기’ 차지훈 변호사 내정

    李정부 첫 주유엔대사로 ‘李동기’ 차지훈 변호사 내정

    이재명 정부의 첫 주유엔대사로 이재명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동기이자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변호인이었던 차지훈 법무법인 화우 변호사가 내정된 것으로 11일 전해졌다. 주중대사에는 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남인 노재헌 재단법인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이, 주러대사에는 이석배 전 대사가 각각 내정됐다.전남 순천 출신의 차 변
  •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에… “한국 기업들, 美 직접 투자 매우 망설일 것”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에… “한국 기업들, 美 직접 투자 매우 망설일 것”

    “관세 협상, 어떤 이면 합의도 없다북미 대화는 한반도 평화에 도움”이재명 대통령은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한국인 근로자들이 구금된 사태와 관련해 “대미 직접 투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해선 “어떠한 이면 합의도 없다”고 밝혔다.이 대통령은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가진 취임
  • 조현, 루비오 만나 “근로자 연행 공개에 국민들 큰 상처…수갑·불이익 없도록 해달라”

    조현, 루비오 만나 “근로자 연행 공개에 국민들 큰 상처…수갑·불이익 없도록 해달라”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 300여명을 태우고 귀국하려던 전세기의 출국 일정이 갑자기 늦춰졌다. 구금 기간이 더 늘어났지만 한미 양측이 근로자들의 비자 종류에 상관 없이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으는 등 해결 국면을 맞아 이들은 곧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미국 워싱턴DC를 찾은 조
  • 수갑 문제로 귀국 지연…“전세기 곧 출발할 듯”

    수갑 문제로 귀국 지연…“전세기 곧 출발할 듯”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 300여명을 태우고 귀국하려던 전세기의 출국 일정이 갑자기 늦춰졌다. 구금 기간이 더 늘어났지만 한미 양측이 근로자들의 비자 종류에 상관 없이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으는 등 해결 국면을 맞아 이들은 곧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미국 워싱턴DC를 찾은 조
  • “자진 출국, 불이익 없게 협의”… 조현, 美국무 만나 막바지 교섭

    “자진 출국, 불이익 없게 협의”… 조현, 美국무 만나 막바지 교섭

    “美 현지서 10일 출발 목표로 준비”日·中 근로자 일부 함께 올 가능성애틀랜타로 버스 이동 절차도 협상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의 자진 출국을 위한 절차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이르면 10일(현지시간) 이들을 태운 전세기가 미국에서 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협의한 대로 향후 이들이
  • 정부, 트럼프 2기만 ‘비자 확대’ 52회 요청… “美, 민감한 이민문제 분류돼 어려움 있어”

    정부, 트럼프 2기만 ‘비자 확대’ 52회 요청… “美, 민감한 이민문제 분류돼 어려움 있어”

    미국 내 한국 기업 공장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가 대규모로 구금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미국과의 비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미국 내 관련 입법을 위해 적극 노력한다는 입장이지만 미국 내 분위기가 녹록지는 않은 상황이다.외교부는 9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올해 상반
  • 정부 ‘전원 자진 출국’ 방침… 조현 “美 재입국 불이익 없도록 협의”

    정부 ‘전원 자진 출국’ 방침… 조현 “美 재입국 불이익 없도록 협의”

    건강 문제나 인권 침해 호소는 없어개인 상황 따라 비자 제한 있을 수도ICE, 자진 출국 의사 별도 확인 절차정식 재판 원하면 구금 시설 남을 듯전세기 비용은 각 기업이 자체 부담정부는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전원을 ‘자진 출국’ 방식으로 귀국시킨다는 방침을 정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
  • 기업 발목 잡은 ‘단기 비자’… 정부 “한국 전문인력 E4 신설 협상”

    기업 발목 잡은 ‘단기 비자’… 정부 “한국 전문인력 E4 신설 협상”

    이번 미국 내 한국 공장 근로자 ‘구금 사태’의 원인 중 하나로 까다로운 비자 발급 문제가 거론되면서 정부는 향후 이 문제를 미국과 집중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직접 “합법적 입국 추진”을 언급한 가운데 조현 외교부 장관이 방미하면서 관련 협의는 빠르게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8일 미
  • 외교1차관, 美국무부에 “한국인 체포 공개 유감…구금 해결 협조 당부”

    외교1차관, 美국무부에 “한국인 체포 공개 유감…구금 해결 협조 당부”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한국인 300여명에 체포·구금된 것과 관련, 외교부는 미 국무부에 신속한 해결을 위한 협조를 당부했다.박윤주 외교부 1차관은 6일 앨리슨 후커 미 국무부 정무차관의 요청으로 가진 전화 통화에서 미 당국에 의해 한국인 300여명의 체포된 데 대해 유감을 표하고 국무부의 각별한 협조를 요청했다고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