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날 팽목항…카네이션 대신 노랑리본만 나부껴

어버이날 팽목항…카네이션 대신 노랑리본만 나부껴

입력 2014-05-08 00:00
수정 2014-05-08 14: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버이날’노랑리본’이 카네이션 빈자리 채워

어버이날인 8일 실종자 가족들이 힘겨운 기다림을 이어가는 진도 팽목항에는 ‘카네이션’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른 아침 잠에서 깬 한 어머니가 노란 꽃길처럼 노란색 리본이 줄지어 걸린 팽목항 등대 길을 묵묵히 걸었다.

육지에서 사고해역 쪽으로 거센 바람이 불어와 노랑리본이 하늘로 올라갈 듯 펄럭이며 휘날렸다.

이 어머니는 바닷바람을 막아서며 바다를 잠시 바라보더니 울음을 왈칵 쏟아냈다.

’희망’의 상징 노랑리본은 이 어머니 품에서 더 이상 바람에 나부끼지 않고 차분히 안겼다.

그러나 어머니는 이제는 ‘희망’에서 ‘기다림’의 의미로 자리를 내준 노란 리본 사이로 얼굴을 파묻고 흐느꼈다.

아들을 차가운 바닷속에서 찾지 못한 한 부모는 어버이날 카네이션은 받지 못한 채 오히려 아들에게 선물을 했다.

부모는 어버이 날로 갓 열일곱이 되는 아들이 좋아하는 축구화에 얼굴을 묻고 더이상 나오지 않을때까지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아이를 잃은 이 부모가 어버이날 누릴 수 있는 유일한 호사였다.

이날 팽목항에서는 누구도 감히 실종자 가족에게 카네이션을 내밀지도, 자식들에게 받은 카네이션을 가슴에 달지도 못했다.

’내리사랑’의 의미를 하루라도 깨달으라는 어버이날, 감사의 말 한 마디 전하지 못하고 갑자기 떠난 어린 자식은 ‘마지막으로 손 한 번이라도 잡아보자’는 부모의 마음을 알지 못하는 지 아직도 소식이 없다.

실종자 가족 식당에서는 4인 한 가족이 고요한 침묵속에서 식사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모 사이 텅빈 한 자리, 아직까지 돌아오지 못한 아이의 자리는 비어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카네이션 꽃 하나 가슴에 달아줄 수 없는 아이가 생각났는지 몇 술 못 뜨고 식탁에서 일어났다.

이들을 도우면서 자식 생각이 더 간절해진다는 50대 자원봉사자 여성은 이날 다시 마음을 가다듬기 위해 그동안 패용한 빛바랜 노랑리본을 떼고 새 것을 가슴에 달았다.

100여 년 전 한 소녀가 곁에 없는 어머니를 떠올리며 달았다는 ‘나는 아직도 어머니를 사랑합니다’란 꽃말의 흰 카네이션.

100여 년 후 진도 팽목항에 ‘내 아이를 사랑합니다’는 꽃말의 ‘노랑리본꽃’이 그 때 카네이션처럼 피어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